미국, 1년간 2240억 달러 투자 유치...최소 110건 발표

[ESG경제=김강국 기자]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야심차게 밀어붙인 ‘인플레이션 감축법(IRA)과 반도체법’이 시행된 지 1년이 지난 가운데, 대규모 대미 투자 계획을 가장 많이 발표한 나라는 한국으로 나타났다.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작년 8월 이후 발표된 외국기업의 대미 투자 계획 중 1억 달러(약 1,340억원) 이상만 집계한 결과 한국 기업이 20건으로 가장 많았다고 1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한국 다음으로는 유럽연합(EU) 회원국(19건), 일본(9건), 캐나다(5건), 대만(3건) 등의 순이었다. 미·중 관계가 악화한 상화에서 중국의 1억 달러 이상 대미 투자 프로젝트는 3건이었다. 미국은 지난 1년간 최소 2,240억달러(약 300조원) 규모의 투자금액을 유치했고, 최소 110건의 투자 프로젝트가 발표된 것으로 분석됐다.
바이든 대통령은 IRA 시행 1주년을 맞아 "이 법은 미국의 일자리 및 경제 성장의 가장 큰 동력 가운데 하나"라고 자화자찬하며 대대적으로 성과를 홍보했다.
그러나 미국의 적극적인 투자 유치에 반발하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는데, 유럽연합이 대표적이다.
EU는 올 초 전기차 배터리 등 친환경 산업의 해외 이전을 막기 위해 제3국과 같은 수준의 보조금을 주는 것을 핵심으로 하는 '한시적 위기 및 전환 프레임워크'를 채택했다. 지난달 25일에는 역내 반도체 생산 역량 확대를 위해 430억 유로(약 62.7조원) 규모의 공공·민간자금을 동원하는 'EU판 반도체법'도 최종 승인했다.
관련기사
김강국 기자
kimkk@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