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진투자증권 "왜곡된 정보 유통이 위험 과소평가"…맹목적 투자자에 '경고'

[ESG경제=홍수인 기자] 전기차 업체들이 대거 중국이 주도하는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채택하는 현상이 국내 배터리 업계에 큰 위험(리스크)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유진투자증권의 한병화 연구원은 "(중국산 LFP 배터리의 약진으로) 우리나라 삼원계 양극재 업체들의 지나친 고평가 부담이 커질 것"이라며 "미국 시장을 제외한 이들 업체의 지역 성장 눈높이를 낮춰야 한다"고 28일 밝혔다.
중국이 주도하는 LFP 배터리는 국내 배터리업계가 주력하는 삼원계(니켈·코발트·망간, NCM) 배터리와 비교해 에너지 밀도는 떨어지나 제조원가가 낮고 안정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는다.
한 연구원에 따르면 승용 전기차 기준 LFP 배터리의 점유율은 2018년 7%에서 지난해 27%로 가파르게 상승세를 보인다는 것. 올해는 테슬라의 전 모델이 LFP 배터리를 도입하면서 시장점유율이 30%를 넘길 게 확실시되고 있다.
LFP 배터리를 채택했거나 채택 계획이 있는 완성차 업체는 테슬라뿐 아니라 제너럴모터스(GM), 포드, BMW, 폭스바겐, 스텔란티스, 현대차그룹, KG모빌리티, 토요타, 메르세데스 등이 꼽힌다.
한 연구원은 "중요한 사실은 그동안 망설이던 글로벌 전기차 업체들 대부분이 LFP 배터리 채택을 확정했다는 점"이라며 "전기차 시장이 성장하려면 중저가 전기차가 중심이 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선 LFP 배터리 채택을 늘릴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특히 비야디, CATL, 고션 하이테크 등이 사용하는 LFP 배터리가 삼원계 배터리 대비 기술적으로 부족함이 전혀 없으므로, 국내 투자자들은 LFP 배터리 확산의 리스크를 경계해야 한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그는 "국내 삼원계 양극재 업체들의 밸류에이션(기업평가가치)이 여타 배터리 소재업체들보다 월등히 높다“며 투자자들의 주의를 당부했다. 그의 설명은 최근 주가 급등으로 고평가 논란이 끊이지 않는 에코프로비엠과 에코프로 등 양극재 종목에 대한 일부 투자자들의 맹목적인 투자 경향이 합리적 투자는 아니라는 의미로 해석된다.
관련기사
- 美 IRA 시행 1년…"대미 투자 발표, 한국이 가장 많아"
- 두산에너빌리티, ‘배터리 재활용’ 전문 자회사 만든다
- ‘배터리 교환식 전기차’…“기술·시장 여건상 장점 크지 않다”
- 리튬 가격 하락하자 머스크 '함박웃음'..."마진 개선 기대"
- LG엔솔, 해외 그린본드 발행에 나선다…"배터리 투자재원 확보"
- 배터리 재활용 관심 커지자 업계 너도나도 '블랙매스'
- 현대차그룹, 고려아연 지분 5% 인수…니켈 공급망 협업
- SK온, 新고체전해질 개발 성공…배터리 출력·충전 속도↑
- KG모빌리티, 전기차 ‘토레스 EVX’ 20일 출시…티저영상 공개
- KGM, 호주서 중형 SUV 토레스 론칭…곽재선 회장 참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