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자동차연구원 보고서…"유선충전 기술 발전에 격차 줄어"

[ESG경제=김도산 기자] 충전하는 데 시간이 걸리는 ‘전기차 유선충전’ 방식의 단점을 보완하는 기술로 '배터리 교환식' 전기차가 거론되고 있으나 기술·시장 여건상 여러 한계가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서현 한국자동차연구원 선임연구원은 25일 '배터리 교환식 전기차의 가능성과 필요성' 보고서에서 "배터리 교환식 전기차는 충전 시간, 전력부하 관리, 배터리 회수 등 문제를 보완할 수 있다고 평가되나 최근 유선 충전기술의 발전으로 가능성과 필요성이 약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최근 현대자동차와 미국 루시드 등이 800V 아키텍처 적용으로 유선 급속충전 속도를 크게 개선하면서 두 방식간의 격차가 줄어드는 추세라는 것.
유선 충전은 수요가 몰리면 충전 장소의 전력부하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반면 교환식은 교환소에서 사전에 배터리를 충전하므로 전력부하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유선 충전 역시 원격제어 기능을 적용하면 충전을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전력부하 관리 능력 개선이 가능하다는 게 이 연구원의 설명이다.
특히 중국 등의 일부 전기차 업체에서 제공하는 배터리 교환·구독 서비스는 ▲소비자 수용성이 높지 않고 ▲규격 표준화가 이뤄지지 않아 다른 제조사의 전기차 간 교환소 교차 이용이 어려우며▲교환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결합부가 손상·노후해 안전 우려가 있는 게 한계로 지적됐다.
보고서는 화물차 등 대형 전기 상용차의 경우 상대적으로 배터리 교환식 도입 가능성이 높아 보이지만, 주요국이 화물차 운전자 등에 대해 15∼45분가량의 의무 휴식시간을 법으로 규정하고 있어 유선 충전과 배터리 교환 방식 간 운전자 편익에는 큰 차이가 나지 않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미국과 유럽에서 개발 중인 대형 전기 상용차 급속충전 규격은 의무 휴식시간 내 70% 이상 충전이 목표여서 이들 규격이 출시되면 두 방식 간 차이는 크지 않다는 것이다.
이 연구원은 다만 전기 이륜차의 경우 전 세계적으로 배터리 교환식이 보편화하고 있어 국내 기업도 이런 방식의 이륜차와 교환소 보급, 서비스 운영 등에서 사업 기회를 창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 일본도 ‘테슬라 충전방식’이 표준?…닛산 첫 도입
- 전기차 충전설비 호재로 테슬라 주가 폭등...‘거품’ 논란
- 中 이어 유럽에도 전기차 '배터리 교환소’ 문 연다
- 주유소에 수소연료전지 설치...주유소·전기차 충전소, 전기 판매 허용
- 전기차 신기원, 10분 이내 초고속 충전 시대 열린다
- 현대·기아차, 미국 3만 곳에 ‘충전소 네트워크’ 구축
- 베트남 전기차 시장, 고속 성장 하이웨이 달린다
- 중국산 'LFP 배터리‘ 채택 급증…국내 배터리업체에 ’큰 리스크‘
- LG엔솔, 해외 그린본드 발행에 나선다…"배터리 투자재원 확보"
- SK온, 新고체전해질 개발 성공…배터리 출력·충전 속도↑
- LG전자, 내년 상반기 美시장에 전기차 충전기 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