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라희·이부진·이서현 모녀, 하나은행과 유가증권 처분 신탁계약

[ESG경제=연합뉴스] 삼성 오너 일가가 상속세를 내기 위해 삼성전자 등 계열사 주식 약 2조6,000억원 어치를 처분한다.
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홍라희 전 삼성미술관 리움 관장,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이서현 삼성복지재단 이사장은 지난 31일 유가증권 처분 신탁계약을 하나은행과 체결했다.
이들은 계약 목적을 '상속세 납부용'이라고 공시에서 밝혔다. 신탁계약 기간은 내년 4월 30일까지다.
홍라희 전 관장, 이부진 사장, 이서현 이사장은 각각 삼성전자 지분 0.32%, 0.04%, 0.14%를 팔기 위한 계약을 맺었다.
최근 거래일 종가(6만9,600원) 기준으로 지분 매각 금액은 홍라희 전 관장 1조3,450억원, 이부진 사장 1,671억원, 이서현 이사장 5,640억원이다.
이부진 사장은 같은 날 삼성물산(0.65%), 삼성SDS(1.95%), 삼성생명(1.16%) 지분 매각을 위한 신탁계약도 체결했다. 최근 거래일 종가 기준 매각 금액은 총 4,993억원이다.
이번에 세 사람이 매각을 추진하는 주식 평가 가치는 총 2조5,754억원에 이른다.
이건희 삼성 선대회장 별세 이후 삼성 일가가 내야 할 상속세는 12조원으로, 유족들은 연부연납 제도를 활용해 2021년 4월부터 5년에 걸쳐 상속세를 분할 납부하고 있다.
관련기사
- "이건희 회장은 전략이론가이자 통합적 사상가"…'신경영정신' 재조명
- 이재용 삼성 회장 선임, 등기임원 아닌데도 이사회 공식 결의 거친 까닭은
- 삼성 회장 취임 임박한 이재용...지배구조 개편 논의 중인 준법위와 회동
- 삼성전자, '환경경영전략' 수립…‘RE100’ ‘탄소중립’ 곧 선언
- 이재용의 ‘뉴 삼성’, 인사제도부터 뜯어고친다
- 삼성 등 총수 일가, ‘경영권 승계’ 주식 담보 '러시'...ESG엔 어떤 영향?
- ‘세기의 상속’ 삼성 지배구조는...경영권 이슈 봉합한 비효율성 잠복
- 삼성가 세계 최대 규모 상속세에 외신도 관심...세금과 지배구조 변화 다뤄
- 이건희 회장, ESG 정신 담은 유산상속...주식은 당분간 가족 공유로
- 삼성전자, 브랜드가치 4년 연속 세계 5위…현대차는 32위
- 한미약품, OCI와 7700억원 통합...상속세 논란 가열시켜
- LG 오너일가 상속세 일부 불복소송 패소... 재판부, "적절하게 산정됐다"
- 50대그룹 오너일가 주식담보대출 급증, 1년새 30%↑ 10兆 육박
- 50대 그룹 오너家 자산 올 상반기에 33兆 불어나…삼성 이재용 1위
ESG경제
webmaster@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