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처 논문, 지구 숲 최대치로 복원하면 탄소흡수량 226Gt에 달해
탄소배출 계속하면 효과 떨어져...숲 복원과 탄소감축 동시 이행해야

[ESG경제=박가영 기자] 지수상의 숲을 온전히 복원할 경우 1년간 전 세계가 배출하는 탄소의 22배를 흡수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로이터통신의 13일 보도에 따르면 스위스 취리히 연방공과대학의 생태학자 토마스 크라우더(Thomas Crowther) 박사와 200명 이상의 연구원들은 국제 과학 종합 저널 네이처(Nature)에 이같은 내용의 연구 논문을 발표했다.
숲 복원과 탄소 저감이 함께 이루어져야
논문은 인간이 건드리지 않았다면 황폐화되지 않았을 지역에 다시 숲을 복원한다면 연간 226Gt의 탄소를 흡수할 수 있다고 밝혔다. 226Gt은 산업혁명 이후 대기에 방출된 탄소의 3분의 1에 해당되는 양이다. 농업에 꼭 필요한 지역이나 이미 도사화가 충분히 진행된 지역은 숲 복원 대상 지역에서 제외됐다.
크라우더 박사는 “탈탄소화와 자연을 지키는 일은 반드시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며 “숲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데에 도움을 줄 수는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숲이 미래에 배출될 온실가스를 완전히 상쇄해주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탄소 저감에 실패해 지속적으로 탄소를 배출하면 기후변화를 불러와 재조성된 숲을 다시 손상시키고 숲이 가진 탄소 흡수 능력을 해치게 된다는 뜻이다.
크라우더 박사는 “보편적으로 생각하는 것과는 반대로 단순히 나무를 심는 것만으로는 미래의 탄소 배출을 상쇄할 수 없다”라며 “반드시 자연 복원과 탄소 저감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나치게 낙관적인 연구 결과라는 비판도
숲을 최대한 복원해 제거할 수 있는 탄소의 양이 226Gt이라는 연구 결과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도 있다. 텍사스 A&M 대학의 생태학자 조셉 벨드먼은 이번 연구 결과가 숲 복원의 탄소흡수 잠재력을 과대 평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226Gt이라는 수치에는 고지대 지역처럼 나무를 심는 데 적절하지 않은 장소까지 포함하고 있다며 “현실적으로 실행 불가능한 이야기”라고 비판했다.
크라우더 박사는 “연구에서는 나무를 심을 수 있는 장소와 숲의 탄소 흡수 역량을 보여주고 있기는 하지만 연구에 나온 모든 곳에 나무를 반드시 심어야 한다는 말은 아니다”고 말했다. 그는 두바이에서 열리는 UN COP28에 참석해 정책 입안자들에게 이런 연구 결과를 설명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 [주간 해외 ESG] 11월 1주, COP28 앞두고 더 활발해진 탄소 감축 활동
- 호주 퀸즐랜드주 산불 열흘째 확산…‘엘니뇨’로 덥고 건조해
- 브라질ㆍ인니ㆍ콩고 등 열대우림 3국, "산림 보호 합의"
- [주간 해외 ESG] 10월 4주, 131개 기업 COP28서 화석연료 퇴출 합의 촉구
- COP26 삼림 벌채 종식 합의는 '거짓 약속'... “더 많은 삼림 사라졌다”
- 기후변화의 역설...브라질, 극심한 가뭄에 디젤 발전소 가동
- 미국, COP28서 핵융합 발전 상용화 협력 제안한다
- COP28 최대 쟁점은 "이행 점검과 손실 피해 기금"
- IEA "진실의 순간 왔다…석유·가스투자 절반 줄여야"
- 세계은행, 기후대응 민간자금 유치 위한 금융 모델 개발
- 지속가능농업, 탄소 배출 감축 위한 대안으로 떠올라
- 워런버핏, 연례서한서 에너지 유틸리티 업계 투자 중단선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