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 빨대 계도기간 무기한 연장에 판로 막혀…정확한 일정 달라"
정부의 일관성 없는 정책에 분통...글로벌 '플라스틱 규제' 흐름에 역행

[ESG경제=홍수인 기자] 정부의 ‘갑작스러운’ 플라스틱 빨대 금지 계도기간 연장으로 종이 빨대 제조업체들이 줄줄이 위기에 처했다. 업체들은 정부를 믿었다가 도산 위기에 내몰렸다면서 긴급지원 자금 투입을 요청했다.
11개 종이빨대 업체로 구성된 '종이빨대 생존 대책 협의회(가칭)‘는 16일 보도자료를 내고 환경부가 지난 7일 플라스틱빨대 사용 금지 계도기간의 무기한 연장을 발표한 데 따른 '피해'를 공개했다.
협의회가 밝힌 바에 따르면 회원사들은 현재 보유한 재고는 1억4,000만개. 협의회에 참여하지 않는 업체까지 포함하면 재고는 2억 개에 달할 것으로 추산했다.
협의회는 "회원사들 월 생산량은 2억7,000만개인데, 플라스틱 빨대 금지 계도기간 연장 발표 후 판로가 막혀 기계 가동을 멈췄다"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종이 빨대 업체 대부분이 중소업체로 긴급 자금이 당장 지원돼야 하며, 재고를 팔 수 있는 판로도 반드시 마련돼야 한다"라고 호소했다.
종이빨대 업계가 강력히 원하는 사항은 플라스틱 빨대 금지 계도기간이 언제까지 이어지질 지에 대한 ’정확한 일정‘. 환경부는 지난 7일 카페와 식당에서 플라스틱 빨대 사용을 금지하는 조처의 계도기간을 사실상 무기한 연장했다.
’일관성‘을 잃은 정부의 이러한 조치는 글로벌 흐름인 ’플라스틱 폐기물 감축‘을 정부가 앞장서 포기하고 정부를 믿은 종이 빨대 업체를 위기로 내몰았다는 비판이 일었다.
환경부는 최근 식음료 프랜차이즈 회사에 되도록 종이 빨대를 계속 사용해달라고 요청하는 한편 종이 빨대 업체 지원방안을 마련하기로 했으나, 잃어버린 신뢰를 회복하기 힘든 ’뒷북 행정‘이라는 비난을 받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