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SG경제=김도산 기자] 고용노동부와 현대차·기아가 20일 경북 경주에 있는 현대차그룹 글로벌상생협력센터에서 '자동차산업 상생협력 확산을 위한 공동선언식'을 개최했다.
노동시장 이중구조를 해소하기 위한 상생협약이 체결된 것은 올해 2월 조선업계, 9월 석유화학업계에 이어 세 번째로 자동차업게에서는 처음이다.
자동차업계는 다양한 부품·소재를 조립하는 특성 때문에 협력업체가 1차 협력, 2차 협력, 3차 협력 등 단계적으로 분포한다. 이에 따라 협력업체의 열악한 근로조건과 낮은 임금지급 능력으로 이중구조가 심화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이번 협약이 상당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공동선언문에 따르면 현대차·기아는 숙련인력 확보·근로조건 개선·기술경쟁력 제고 등 측면에서 협력업체를 돕고, 협력업체는 근로조건·생산성 향상과 연구개발 등에 동참하기로 했다. 이정식 노동부 장관은 인사말에서 "이중구조는 노사 일방에 책임을 지우는 입법 규제,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 비정규직 제로 정책 등 '대중처방'으로는 해결되지 않는다"며 상생협약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관련기사
김도산 기자
news@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