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보고서, 연 강수량 1m 늘면 해당 지역 경제성장률 2.54%↓

[ESG경제=김강국 기자] 비가 많이 오고 기온이 올라가는 등의 기후 변화가 이어지면 건설·부동산 업종 등을 중심으로 제주·경남 지역의 피해가 가장 클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18일 발표한 '기후변화 물리적 리스크(위험)의 실물경제 영향 분석' 보고서에서 국내 기후 조건을 반영해 피해 함수를 추정한 결과, 특정 지역의 연간 총강수량이 1m 늘어나면 해당 지역 내 총생산(1인당 기준) 증가율이 2.54%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특히 실외 생산활동이 많은 건설업(-9.84%), 비금속광물·금속제품업(-6.78%)과 기후 피해 관련 보험금 지급 등이 늘어나는 금융·보험업(-3.62%)이 크게 타격을 입었다.
기후변화 영향이 5년간 누적(향후 관측 가능성이 큰 강수량·기온 변화분의 중간값 적용)되는 상황을 가정해 분석한 결과, 건설업(-4.90%)·부동산업(-4.37%)·섬유의복가죽제품(-2.53%)·비금속광물금속(-1.76%)·금융보험(-1.13%)에서 피해가 예상됐다.
지역별로는 남쪽에 위치하면서 도시·산업화 수준이 높은 제주(-3.35%)·경남(-2.39%)·대전(-1.54%)·부산(-1.31%) 등의 타격이 클 것으로 분석됐다.
이지원 한은 금융안정국 과장은 "지구 평균기온 상승으로 우리나라에도 기온 상승과 강수량 증가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며 "홍수·가뭄·산불 등 급성 기후 변화에 따른 직접 피해 영향까지 고려하면 피해 규모는 더 커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김강국 기자
kimkk@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