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 가격 높이고 글로벌 수요 줄여,
수출의존도 높은 한국이 더 취약"

ESG경제=김강국 기자] 세계 각국이 온실가스 감축을 하지 않아 지구가 계속 뜨거워지면 대외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가 상대적으로 더 타격을 받는다는 분석이 나왔다. 시나리오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은 2100년경 최대 5.4% 감소할 수 있다는 것이다.
김재윤 한국은행 금융안정국 지속가능성장연구팀 과장은 정선문 동국대 회계학과 교수, 이성태 홍익대 전자전기공학부 교수와 작성한 '수출입경로를 통한 해외 기후변화 물리적 리스크의 국내 파급영향 보고서‘를 통해 6일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구 평균온도가 관측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전 세계적인 기후 충격은 세계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그 영향이 수출입 경로를 통해 국내 경제에도 파급된다.
수출 경로에서는 지구 온난화가 교역 상대국의 생산성·소득 감소로 이어져 국내 자동차·정유·화학·철강 등 주요 산업의 수출 감소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녹색금융협의체(NGFS)의 시나리오상 전 세계 GDP는 2100년경 3.8∼8.9%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 세계 경제가 위축되면서 수출 의존도가 높은 국내 자동차(-11.6∼-23.9%), 정유(-9.7∼-19.1%), 화학(-7.6∼-15.7%), 철강(-7.2∼-15.6%) 업종의 수출이 많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수입경로 측면에서도 기후변화로 인한 장기간의 온도 상승은 글로벌 농축수산물 공급 감소로 이어져 수입 가격 상승을 초래한다.
결론적으로 온도 상승이 극대화하는 녹색금융협의체(NGFS)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서 한국 GDP는 2100년경 2.0∼5.4% 줄어드는 것으로 예상된다.
김재윤 과장은 "이번 보고서에서 다루지 않은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해에 의한 물리적 피해가 확대될 경우 해외 기후리스크가 글로벌 공급망을 거쳐 국내 경제에 예상보다 큰 피해를 미칠 수 있다"며 "국내 기업과 금융기관은 해외 기후리스크에 대해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 교황의 말씀 “기후위기 한계점 임박...부자 나라부터 변해야”
-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 올해도 늘어…기후변화 대응 연대는 공염불?
- G20, ‘30년까지 재생에너지 3배로 확대...화석연료 퇴출 합의는 불발
- 美 연구진 “온실가스 줄이려면 부자 소득에 탄소세 부과해야”
- 지구와 인류의 공멸, ESG가 막을 수 있다
- ‘슈퍼 태풍’ 다음 차례는 한반도?…日·中 태풍에 ‘몸살’
- 온실가스 상위 15개 기업 배출량, 4년 새 9.1% 증가
- 맥주 애호가들 어쩌나...기후변화로 밍밍한 맥주 마셔야 할지도
- 자연재해 늘자 ‘재난 채권’ 시장 '쑥쑥'...수익률 16%대
- 기상청, 읍면동 단위로 기후변화 상황지도 제공
- 산불·가뭄·태풍…美 경제, 기후변화로 매년 약 200조원 피해
- 기후변화, 업종은 ‘건설·부동산’ 지역은 ‘제주·경남’에 타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