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기후평가보고서 "연방 재정부담 커지고, 해안 사는 수백만 명 이주 필요“

[ESG경제=김도산 기자] 산불·가뭄·태풍 등 기후 변화에 따른 각종 자연재해로 미국 경제가 겪는 피해 규모가 매년 1,500억 달러(약 200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국 13개 연방정부 산하 기구로 구성된 미국지구변화연구프로그램(USGCRP)이 이러한 내용의 ‘미국기후평가보고서(NCA)’를 공개했다고 14일(현지 시간) 밝혔다.
USGCRP는 기후변화가 자연, 경제, 국가 제도 등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 평가하는 보고서를 4년마다 작성해 대통령과 의회에 제출한다.
이번에 나온 보고서의 핵심 내용은 기후변화가 불러온 자연재해로 미국 정부가 심각한 도전에 직면했다는 것. 기후변화에 따른 피해 복구에 드는 비용은 매년 늘어나는 반면, 기후변화가 미국 산업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으로 세수가 감소하는 이중고를 겪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이 되면 가뜩이나 적자를 벗어나지 못하는 미국 재정 상황이 갈수록 나빠질 수밖에 없다.
USGCRP은 미국 중서부 곡창지대의 농업, 동부 해안의 어업, 스키 리조트와 같은 관광업까지 미국 전역의 경제활동이 기후변화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미국 전체 인구의 40%가 해안지역에 거주하는데, 이들 중 상당수가 해수면 상승의 위험에 노출됐다고 평가했다. 해수면 상승 탓에 21세기 말까지 미국의 수백만 가구가 거주지를 떠나야 한다는 것이다.
USGCRP은 "미국 전역에서 기후변화의 영향이 감지되는 상황에서, 앞으로 충격은 더욱 거세지고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도 급증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USGCRP은 탄소배출 절감을 위한 청정에너지에 대한 투자를 늘리지 않으면 기후변화가 가속할 것이라며 이에 대비한 미국의 노력이 충분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파리협약의 목표치, 즉 지구의 평균기온 상승 폭을 산업화 이전 대비 1.5℃ 이내로 억제하려면 미국이 지난 2005년~2019년 기간 중 매년 평균 6%씩 탄소배출을 줄여야 했으나 실제로는 매년 1%에도 못 미쳤다는 게 USGCRP의 분석이다.
관련기사
- IMF "친환경 투자가 답...특허 2배 늘면 5년 후 성장 1.7% 높아져“
- 자연재해 늘자 ‘재난 채권’ 시장 '쑥쑥'...수익률 16%대
- 한국경제, 지구온난화 리스크 크다…"2100년 GDP 최대 5.4%↓"
- 하와이 산불은 '인재', "200년 간 지속된 무분별한 개발 탓”
- 자연재해 보험 가입 불가능해질 수도...카이사뱅크 경고
- ‘산불 참사’로 지구 곳곳이 아우성…하와이 이어 스페인도
- 하와이 ‘산불 지옥’에 사망자 93명…美, 100년만에 최악 피해
- 워런버핏, 연례서한서 에너지 유틸리티 업계 투자 중단선언
- 기후변화 '나비효과'...산불로 美 보험사·주정부·부동산 흔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