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세대보다 대역폭 2배 확대...오픈 컴퓨트 프로젝트(OCP) 2.0 버전 지원
QLC 기반 61TB 제품, 연내 샘플 공급,내년 122TB까지 제품군 확대

[ESG경제신문=김대우 기자] SK하이닉스는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용 고용량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제품인 'PS1012 U.2'(이하 PS1012) 개발을 완료했다고 18일 밝혔다.
AI 시대 본격화로 고성능 기업용 SSD(eSSD) 수요가 급격히 늘고, 이를 고용량으로 구현할 수 있는 쿼드레벨셀(QLC) 기술이 업계 표준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런 흐름에 맞춰 이 기술을 적용한 61TB(테라바이트) 제품을 개발해 선보였다고 SK하이닉스는 설명했다.
PS1012는 최신 PCle(고속 입출력 인터페이스) 5세대를 적용, 4세대 제품보다 대역폭이 2배로 확대됐다. 이에 따라 데이터 전송 속도는 32GT/s(초당 기가트랜스퍼)에 달하며, 순차 읽기 성능은 이전 규격 제품 대비 2배 수준인 13GB/s(초당 기가바이트)다.
또 이 제품이 오픈 컴퓨트 프로젝트(OCP) 2.0 버전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발해 글로벌 AI 고객들의 여러 데이터센터 서버 장치와 호환성을 높였다.
SK하이닉스는 신제품 샘플을 연내 글로벌 서버 제조사에 공급해 제품 평가를 진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내년 3분기에는 제품군을 122TB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아울러 eSSD의 용량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지난달 개발한 세계 최고층 321단 4D 낸드 기반 244TB 제품도 함께 개발한다.
앞서 SK하이닉스는 QLC 기반 eSSD를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 자회사 솔리다임을 중심으로 AI 데이터센터용 SSD 시장을 이끌어왔다. 이번 PS1012 개발로 균형 잡힌 SSD 포트폴리오를 구축해 두 회사 간 시너지를 극대화할 것으로 회사측은 기대했다.
안현 SK하이닉스 개발총괄(CDO)은 "앞으로 eSSD 분야의 높은 경쟁력을 바탕으로 AI 데이터센터 고객들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해 '풀스택 AI 메모리 프로바이더'로 도약하기 위한 성장 기반을 다지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거버넌스포럼 "SK하이닉스 밸류업계획 C학점...자사주 소각부터"
- SK하이닉스, 2027년까지 주당 고정배당금 25% 올린다
- SK하이닉스, '세계 최고층' 321단 낸드 양산 개시…내년 상반기 공급
- KB금융·신한지주·현대차·KT·우리금융...ESG평가 'S‘ 등급 최우수
- ESG평가원 '24년 상장사 정례 평가...평균 69.5점 전년比 0.6점↑ B+등급
- 창립 41주년 SK하이닉스 "AI 메모리로 '40+1 르네상스 원년' 만들 것"
- SK하이닉스, HBM3E 12단 세계최초 양산 돌입...HBM 주도권 굳힌다
- 밸류업 지수 논란...'저PBR' KB금융·KT 빠지고 '고PBR' 깜짝 편입
- SKT·SK하이닉스·美 펭귄솔루션스, AI 데이터센터 사업 맞손
- '역대급 실적' SK하이닉스, 기본급 1500% 사상최대 성과급 잔치
- SK하이닉스, 작년 창사이래 역대최대 실적...영업이익만 23兆 넘어
- 한국에 세계 최대 AI 데이터센터 만든다...LG 창업주 손자 추진
- SK하이닉스, '2025년 세계에서 가장 윤리적인 기업' 선정
- SK하이닉스, 321단 QLC 낸드 양산 돌입...'현존 최고 집적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