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등과 1950㎡ 규모 SK그룹 전시관 운영
북미시장 내년 출시 AI 비서 '에스터' 시연 및 서비스 계획 발표
CES 최고 혁신상 받은 AI 기반 모바일 금융사기 탐지·방지기술 시연도

[ESG경제신문=김대우 기자] SK텔레콤이 23일 내년 1월 7∼10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 'CES 2025'에서 SK그룹의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기술과 각종 AI서비스 등 AI서비스 역량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SK텔레콤은 SK하이닉스와 SKC, SK엔무브 등 SK 그룹사와 '혁신적인 AI 기술로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든다'를 슬로건으로 CES 2025 행사장 내 센트럴 홀에 공동 전시관을 운영한다. 약 1950㎡(590평) 규모인 SK 전시관에는 핵심 주제인 데이터센터(AI DC) 관련 기술과 각종 AI 서비스를 선보이며 파트너사들과 협업 내용이 소개된다.
AI 데이터센터 내 분산 발전원 기술로 전력을 안정적·효율적으로 공급하는 기술, 액체 냉각 기술 등 에너지 설루션이 주목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SK텔레콤은 전시관 AI DC 부스 중앙에 6m 높이 대형 LED 기둥을 설치하고 에너지·AI·운영·보안 등 SK그룹이 보유한 네 가지 AI DC 설루션을 강조할 계획이다. 아울러 SK텔레콤이 북미 시장을 대상으로 내년 출시를 준비 중인 AI 비서(에이전트) 서비스 '에스터'를 시연하며 구체적 서비스 계획을 공개할 예정이다.
지난달 CES 최고 혁신상을 받은 AI 기반 모바일 금융사기 탐지·방지 기술 '스캠뱅가드' 시연도 열린다. SK텔레콤의 전략적 투자자인 AI 반도체 기업 리벨리온의 신경망처리장치(NPU)도 선보인다.
이밖에 가우스랩스·람다·앤트로픽·퍼플렉시티·펭귄솔루션스 등 SK텔레콤과 AI 기술 및 서비스에서 협력 중인 글로벌 파트너사도 전시에 참여한다.
SK하이닉스가 개발 중인 현존 D램 최고 설루션 'HBM3E 16단' 등 AI 데이터센터를 구성하는 AI 반도체와 반도체 공정의 '게임체인저'로 불리는 SKC의 유리 기판 기술 등도 전시된다.
박규현 SK텔레콤 부사장은 "이번 CES를 통해 글로벌 AI 기업으로 한 단계 더 도약하는 자사의 AI 역량이 전 세계인들에게 알려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SK텔레콤,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지수 월드지수 편입
- SKT, AI기반 이상거래 감지시스템으로 보이스피싱 차단...내년 상용서비스
- SKT, 글로벌형 AI 비서 '에스터' 공개…스스로 계획 세우고 수행
- 거버넌스포럼 "SK 밸류업 계획, 핵심내용 빠져 부실...D등급 부여"
- KB금융·신한지주·현대차·KT·우리금융...ESG평가 'S‘ 등급 최우수
- SKT 유영상 "한국형 IRA 지원해주면 AI 인프라 발달할 것"
- SK텔레콤, 2분기 영업이익 5375억원...전년 동기 대비 16% 증가
- SKT 유영상 "AI DC 등 AI 신성장사업 강화...통신 AI 전환 완성"
- SKT·SK하이닉스·美 펭귄솔루션스, AI 데이터센터 사업 맞손
- 한국에 세계 최대 AI 데이터센터 만든다...LG 창업주 손자 추진
- SKT, 카카오 지분 전량 매각한 뜻은…SK브로드밴드 완전 자회사 편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