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운홀 미팅... "AI 피라미드 전략 구체화...이젠 AI로 수익 얻어야"
AI중심 사업 포트폴리오로 선택과 집중...통신 본업 프로세스 최적화

[ESG경제신문=김대우 기자] 유영상 SK텔레콤 대표가 25일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DC)를 비롯한 AI 신성장 사업 영역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기존 통신 사업의 AI 전환을 완성하겠다"고 밝혔다.
유 대표는 이날 오전 서울 중구 SKT타워에서 타운홀 미팅에서 "지난 3년간 AI 피라미드 전략을 구체화했고, 이제는 AI로 수익을 얻는 방법에 대해 고민할 때"라며 이 같은 내용의 사업 전략을 구성원에게 공유했다.
단기적으로는 AI DC를 비롯한 AI 기업 간 거래(B2B), AI 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B2C) 등 신성장 사업 영역의 사업 모델을 강화하고, 장기적으로는 기존 통신 사업의 AI 전환을 완성한다는 전략이다.
AI DC 사업 분야에서 SK텔레콤은 최근 미국 데이터센터 통합 설루션 업체 스마트 글로벌 홀딩스(SGH)에 2억 달러를 투자하고, AI 컴퓨팅·소프트웨어·액침 냉각 등 AI 인프라를 구성하고 있다.
B2B 영역에서는 AI 컨택센터(AICC)·에너지 설루션·비전 AI 등 핵심 사업 영역의 SK 그룹 내 시너지 강화와 글로벌 빅테크와의 협력 확대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으며, B2C에서는 에이닷의 핵심 기능을 고도화해 이동통신·미디어·모빌리티 등으로 서비스 영역을 넓힐 계획이다.
유 대표는 "SK텔레콤이 추진하는 OI(본원적 경쟁력 강화·Operation Improvement)는 AI 컴퍼니로서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기업 체질 개선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구성원에게 기존 사업 및 투자를 다양한 시각에서 재검토해 통신과 AI 중심 사업 포트폴리오로 선택과 집중에 나설 것을 주문하고, 통신 본업의 패러다임을 전환해 사업 프로세스를 최적화할 것을 당부했다.
관련기사
- SKT, 하나은행과 1년간 AI 스타트업 15곳 지원한다
- 현대차∙SKT 등 6개사 'CDP 기후변화 대응 최우수 기업' 선정
- SKT, AI 거버넌스 전담 조직 신설
- SKT, 1회용 컵 없는 친환경 장례 문화 정착 나서
- SKT "AI '에이닷'으로 영어 단어 외우세요"
- SK텔레콤, 2분기 영업이익 5375억원...전년 동기 대비 16% 증가
- SK텔레콤-노키아, 인공지능 기반 유선망 기술 상용화 협력
- SKT 유영상 "한국형 IRA 지원해주면 AI 인프라 발달할 것"
- SKT, 다음달 4~5일 코엑스에서 'SK AI 서밋 2024' 개최
- SK텔레콤 주도 'K-AI 얼라이언스', 다음달 4~5일 'SK AI 서밋' 참가
- SKT, 글로벌형 AI 비서 '에스터' 공개…스스로 계획 세우고 수행
- SKT, AI기반 이상거래 감지시스템으로 보이스피싱 차단...내년 상용서비스
- SKT, CES 2025서 AI 데이터센터 기술 등 앞선 AI 역량 선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