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지성, 김종중, 장충기 등 나머지 피고인 13명도 모두 무죄

[ESG경제신문=김대우 기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부당합병·회계부정 혐의 항소심에서도 무죄를 선고받았다.
3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서울고법 형사13부(백강진 김선희 이인수 부장판사)는 이날 자본시장법상 부정거래행위·시세조종, 업무상 배임 등 혐의로 기소된 이 회장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함께 기소된 최지성 전 삼성그룹 미래전략실(미전실) 실장, 김종중 전 미전실 전략팀장, 장충기 전 미전실 차장 등 나머지 피고인 13명에게도 원심과 같이 모두 무죄를 선고했다.
재판부는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비율과 합병 시점, 삼성바이오로직스(로직스)의 삼성바이오에피스(에피스)에 대한 지배력 여부 등 쟁점 사항에 대해 차례로 판단한 뒤 검사의 주장을 모두 기각했다.
재판부는 이번 사건의 가장 큰 쟁점이었던 로직스의 허위공시·부정회계 의혹에 대해서는 "(바이오젠의) 콜옵션이 행사되면 로직스가 (에피스에 대한) 지배력을 잃는다는 사실이 주요 위험이라고 공시했어야 된다고 본다"면서도 "하지만 은폐한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고 판단했다.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 보고서가 이 회장의 경영권 승계를 위해 조작됐다는 검찰 주장도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 회장 등은 2015년 제일모직-삼성물산 합병 과정에서 최소 비용으로 경영권을 안정적으로 승계하고, 지배력을 강화할 목적으로 사내 미래전략실이 추진한 각종 부정거래와 시세조종, 회계 부정 등에 관여한 혐의로 2020년 9월 기소됐다. 1심 재판부는 3년 5개월에 이르는 심리 끝에 지난해 2월 이 회장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관련기사
- 이찬희 "삼성, '이건희 신경영 선언' 같은 생각의 전환 필요"
- 삼성전자 반도체 수술...전영현 대표이사 내정, 정현호· 한종희 유임
- ‘삼성의 위기’ 호소한 이재용 회장, 대대적 인적쇄신 칼 빼드나
- [김광기 칼럼] 삼성전자 위기 탈출, 이재용 회장의 결단은
- 삼성전자 창립 55주년…"과거성과 안주...승부근성·절실함 약해진 건 아닌지"
-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 등기임원 언제 복귀하나...새 보상체계는
- '위기의 삼성' 이재용 회장 어떤 카드 내놓을까
- [특별 기고] 삼성전자는 과연 기업문화를 바꿀 수 있을까?
- 삼성전자 지속가능성 흔들리나...FT "인재 유출 위험” 지적
- 이재용·올트먼·손정의 3자 회동…한미일 'AI 동맹' 가속도
- "이재용 회장 2심 판결, 자본시장에 무거운 숙제를 던졌다"
- 삼성전자, '갤럭시 S25 시리즈' 전 세계 순차 출시 시작
- 삼성전자, 주주가치 제고 위해 자사주 3조 소각·3조 추가 취득
- 작년 배당금 1위 이재용 회장 3465억...2위 정몽구 명예회장의 1.8배
- 삼성전자 이사회에 반도체전문가 3명 포진...이재용회장 복귀는 불발
- 이찬희 삼성 준감위원장 "이재용, 등기이사 복귀 필요" 재차 강조
- "삼성전자 이사회 개편 실망...TSMC 모리츠 창에게 배워야"
- 삼성 갤럭시 S25 울트라, 유럽 이어 美서도 소비자평가 1위
- 이재용 "죽느냐 사느냐 생존의 문제 직면"…'독한 삼성인' 주문
- 삼성전자 한종희 "근원적 기술경쟁력 확보...M&A 성과 내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