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 크레딧 공급자와 수요자 적정 가격 놓고 이견
[ESG경제신문=이신형기자] 자발적 탄소시장에서 탄소제거 크레딧이 주목을 받고 있으나, 크레딧 공급자와 수요자가 탄소 크레딧의 적정 가격을 놓고 상당한 이견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 대한상의 탄소감축 인증 논란, “신뢰성‧추가성 면밀히 검증해야"
- 구글, 바이오차 기반 탄소 크레딧 20만톤 구매
- 셸, ‘24년 탄소 크레딧 최다 매수 기업...MS 2위
- 정부, 중소기업 탄소 크레딧 시장 개설 논의...공공 인증 하이브리드 시장
- 구글, 탄소 제거 크레딧 20만톤 구매… 암석 풍화 촉진 기술 기반
- EU, CBAM에 유엔 국제 탄소시장 통한 상쇄 고려 검토
- IOSCO, 자발적 탄소시장 무결성 기준 제시
- 탄소 크레딧 공급 초과...양질의 탄소 크레딧 공급은 부족
- 탄소크레딧 통한 상쇄활동 2년 연속 감소…기업들, 자체 감축 집중
- 구글, 대기직접포집 탄소크레딧 10만톤 구매… "역대 최저 가격"
- 글로벌 기업들, 바이오차 탄소크레딧 구매 러시
- “비싼 탄소 제거 크레딧 구매 능사 아냐”...가격이 무결성 보장 못해
- 파리협정 6조 탄소시장 급팽창 전망...‘30년 1670억달러 규모
- 무보-MIGA, 캄보디아 탄소감축 사업에 보험 공동 제공 계획
- 탄소 크레딧 프로젝트 참여자 60%, 소유권 변경 리스크 가장 우려
- 심해 격리 플랑크톤에서 '탄소 크레딧' 확보 전망
- 호주 대규모 토양 탄소크레딧 프로젝트 가동... 무결성 논란 해소될까
키워드
Tags #탄소제거 크레딧 #바이오차 #직접대기탄소포집저장 #DACCS #해양탄소제거 #mCDR #바이오매스 #구글 탄소제거 크레딧 구매 #암석풍화촉진 #ERW #탄소회피 크레딧 #자발적 탄소시장
이신형 기자
shlee@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