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스인덱스, 국내 284개 대기업 임원 및 직원 보수 분석
개인 최고 연봉 이재현 CJ그룹 회장 193억7400만원 수령
격차 1등 식음료 29.7배...유통, 제약, IT·전기전자, 자동차順

[ESG경제신문=김대우 기자] 지난해 국내 주요 대기업의 최고경영자(CEO)와 직원 평균 연봉 격차가 15배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에 따르면 매출 기준 상위 500대 기업 중 사업보고서를 제출하고 5억원 이상 연봉자를 공개한 284개사의 CEO 연봉, 미등기임원 평균 보수, 직원 평균 보수를 비교·분석한 결과 최고 연봉자의 평균 보수는 14억5000만원으로, 직원 실질 평균 연봉 9510만원보다 15.3배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각 기업 최고연봉 임원의 지난해 연봉은 2023년 14억6900만원보다 1.3% 감소한 반면, 미등기임원을 제외한 직원 실질 평균 연봉은 전년(9230만원)보다 3% 증가해 연봉 격차가 15.9배에서 15.3배로 소폭 줄었지만 격차는 여전히 크다.
이번 조사에서 최고경영자 보수는 연봉 5억원 이상 공개 대상자 중 C레벨(최고의사결정권자)이면서 가장 많은 보수를 받은 인물을 기준으로 했다. 퇴직금은 제외하고 스톡옵션은 포함했다. 미등기임원 연봉은 사업보고서상 미등기임원 1인당 평균 보수이며, 직원 평균 급여는 전체 평균 연봉에서 미등기임원 보수를 제외한 실질 수치를 사용했다.

업종별로 보면 최고 연봉자와 직원 간 연봉 격차가 가장 큰 분야는 식음료였다. 식음료 분야에서 최고 연봉자 평균(19억9539만원)과 직원 평균(6718만원)은 29.7배 격차를 보였다. 다음으로 유통(22.8배), 제약(22.2배), IT·전기전자(21.7배), 자동차·부품(20.6배) 순으로 차이가 컸다.
반면 은행업은 격차가 가장 작았다. 2023년 8.6배였던 격차는 작년 8.3배로 축소됐다. 여신금융(8.4배), 증권(10배), 보험(10.1배) 등 여타 금융업종도 상대적으로 격차가 작은 편에 속했다.
개별 기업으로는 CJ제일제당이 가장 큰 격차를 보였다. 손경식 회장이 81억7100만원을 받을 때 직원들은 실질 평균 연봉 7702만원을 수령해 106.1배 차이를 기록했다. 그 뒤를 LS일렉트릭(87.3배), 비에이치(84.2배), 삼성바이오로직스(75.5배), 현대백화점(73.9배), 이마트(71.8배), 하이트진로(65.2배) 등이 이었다.
작년 미등기임원을 제외한 직원 실질 평균 연봉이 가장 높은 기업은 SK에너지로, 전년(1억5251만원) 대비 5.2% 증가한 1억6038만원을 기록했다.
퇴직금을 제외한 개인 최고 보수 수령자는 이재현 CJ그룹 회장이었다. 이 회장은 지난해 CJ와 CJ제일제당 두 곳에서 총 193억7400만원을 받았다. 2위는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으로 4개 계열사에서 178억3400만원을 수령했다. 다만 신 회장은 호텔롯데와 롯데물산 사업보고서가 미공시 상태여서 해당 급여는 반영되지 않았다.
조현상 HS효성 부회장은 지난해 효성과 HS효성에서 총 151억9000만원(퇴직 소득 171억9200만원 제외)을 받아 3위를 기록했다. 조 부회장은 보수와 상여만으로는 70억원을 밑돌았으나 효성에서 특별공로금 85억원을 수령하면서 순위가 급등했다.
그룹사 기준으로는 개인 보수 30위권 내 LS그룹이 5명으로 가장 많았다. CJ는 3명, 한화·현대차·SK·GS·현대백화점 등은 각각 2명씩 포함됐다.
관련기사
- 작년 사외이사 연봉킹은 삼성전자…9.8%줄어 1억8000만원대
- 정의선 회장 재계총수 연봉 1위 유력...올해 200억원 넘어설듯
- '역대급 실적' SK하이닉스, 기본급 1500% 사상최대 성과급 잔치
- 삼성전자, 임원 성과급 주식 지급..."선진국형 보상 첫걸음"
- 머스크 560억달러 보너스 패키지 테슬라 주총 통과...구속력 없어
- 상장사 사외이사 연봉 평균 8천만원 돌파...ESG등급 높을수록 연봉 많아
- 사외이사 연봉 2억원 시대...삼성전자 첫 돌파, '연봉 1억 클럽' 16곳
- LS, 중복상장 우려에 "IPO 시 주주가치 훼손 없도록 살피겠다"
- 대기업 임원 줄고 직원은 늘어나...경기침체 속 실무인력 확대
- 국내 기업 CEO 평균 연령 50대로 낮아졌다…세대교체 활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