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RA에 몰려든 기후테크 기업들, 美 저탄소 기업 운영에 적합한지 재평가
시티그룹 고객들, 유럽과 아시아에 기후투자 기회 모색...미국투자 보류

[ESG경제신문=김연지 기자] 블룸버그는 1일(현지시간) 시티그룹(Citigroup Inc.) 고위 임원의 말을 인용해 재생에너지 및 기후테크 기업들이 미국에서 사업장을 운영하는 것에 대해 재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투자자들 역시 미국이 아닌 다른 지역에 기후 투자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고 블룸버그는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시티그룹의 청정에너지 전환을 위한 기업 금융 글로벌 책임자 캐시 셰퍼드는 지난달 30일 뉴욕에서 열린 블룸버그NEF 서밋 패널 토론에서 이같이 말했다. 바이든 행정부의 인플레이션 감소법(IRA)에 따른 보조금을 받기 위해 미국으로 몰려든 재생에너지 및 기후테크 기업들이 이제는 미국이 저탄소 기업을 운영하기에 최적의 장소인지 다시 평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아직 미국에서 눈에 띄는 이탈은 없지만, 기업들은 저탄소 기업을 운영하기에 더 적합한 지역이 있는지 검토하고 있다. 셰퍼드는 특히 시티그룹 고객들이 유럽과 아시아에서 투자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셰퍼드는 "많은 해외 투자자들이 IRA의 이점을 누리기 위해 미국에 추가 자본을 투자할 방법을 모색하던 대화의 흐름을 바꿨다”면서 "미국에 투자하려고 했던 기후 투자자들은 현재 상황을 관망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에 투자하는 대신)유럽뿐만 아니라 전 세계 지역의 투자 기회를 재평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셰퍼드는 "자본 흐름의 변화가 아직 완전히 나타나고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지만, 이에 대한 대화가 시작되었고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면서 아시아가 투자 고려 지역으로 활발하게 언급되는 지역 중 하나라고 말했다. 그는 "중요한 점은 ESG에 대한 공격이 (기후테크에 대한 투자에도)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부터 ‘IRA 폐지’를 주장해왔다. IRA 폐지는 공화당 내에서도 반발이 거세다. 지난달에는 공화당 소속 상원의원 4명이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의 에너지 세액공제를 전면 철회하려는 당내 움직임에 제동을 걸었다.
리사 머카우스키(알래스카), 존 커티스(유타), 톰 틸리스(노스캐롤라이나), 제리 모란(캔자스) 의원은 10일 존 튠 상원 원내대표에게 보낸 서한에서 “세액공제 철회는 민간 투자 위축과 에너지 산업의 혼란을 초래할 것”이라며 신중한 접근을 요청했다.
현재 53대 47로 다수당을 차지하고 있는 공화당은 4명의 의원이 이탈할 시 세액공제 전면 철회를 통과시키기 어렵다. 서한을 보낸 의원들은 이들은 튠 원내대표에게 새로운 국내 제조업 활성화, 공공요금 인하, 현재 세액 공제 구조를 기반으로 투자를 한 기업들에게 정책을 보장해줄 것을 촉구했다.
관련기사
- [해외브리핑] 트럼프, 민주당 4개 주 기후변화 법안에 소송 제기
- 英 연금기금 TPP, "기후 책임투자 지속"…새 수탁사 아문디·인베스코
- 트럼프도, 공화당도 못 막는다..."ESG는 거스릴 수 없는 흐름"
- 전세계 기후펀드, 올해 순유출 보일 전망
- 트럼프, 기후위기 대응 훼방꾼될까...IRA 폐지는 지켜봐야
- 미 대선 뒤 지속가능 금융 전망은…비관론과 낙관론 뚜렷하게 교차
- 트럼프 100일 간 청정에너지 사업 95개 백지화
- [기업브리핑] 공정위, 무신사 등 패션업계에 ‘그린워싱’ 경고...첫 제재
- 기후테크 스타트업 육성 시급...“기후위기 대응 퀀텀점프 초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