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UN, '30년까지 AI 데이터센터 '청정에너지 전환' 요구

  • 기자명 주현준 기자
  • 입력 2025.07.24 18:19
  • 댓글 0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30년 데이터센터 전력소비, 일본 전체와 맞먹을 전망"
트럼프 'AI 플랜' 발표..."환경규제 완화·가스·석탄 확대"
“트럼프 환경규제 완화, 기후기술 산업에 위협”
업계 “지속가능 전환 위해 글로벌 협력·정책안정성 중요”

유엔(UN) 사무총장 안토니오 구테레스가 미국 뉴욕에 위치한 유엔 본부에서 2025년 7월 22일 화석 연료에서 벗어나 글로벌 전환과 재생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한 연설을 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유엔(UN) 사무총장 안토니오 구테레스가 미국 뉴욕에 위치한 유엔 본부에서 2025년 7월 22일 화석 연료에서 벗어나 글로벌 전환과 재생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한 연설을 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ESG경제신문=주현준 기자] 안토니우 구테흐스 UN 사무총장이 22일(현지시각) 뉴욕 UN본부에서 기후 행동 연설을 통해 “2030년까지 전 세계 모든 데이터센터를 100% 재생에너지로 운용해야 한다”고 빅테크 기업들에게 촉구했다. 그는 “AI를 비롯한 첨단기술이 전 세계 전력 소비를 빠르게 끌어올리고 있다”며, 지속 불가능한 발전 양상을 우려했다.

구테흐스 총장은 “AI 데이터센터 한 곳이 일반 가정 10만 가구와 맞먹는 전기를 사용하고, 가장 큰 초대형 센터는 이보다 최대 20배 이상 소비하게 될 것”이라며 “2030년이면 전 세계 데이터센터의 전력소비가 일본 전국의 에너지 소비에 맞먹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국제에너지기구(IEA)가 지난 1월 내놓은 '에너지·AI' 보고서에 따르면, 데이터센터의 전력 사용량이 2024년 기준 전 세계 사용량의 약 1.5%에 달하며, 2030년까지 2배 수준으로 급증할 것으로 전망됐다.

“선진국-개도국간 ‘에너지 전환’ 격차 확대”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AI 및 IT기업들은 태양과 바람 등 청정에너지를 도입해 새로운 기술 기반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최근 재생에너지 보급이 미국·유럽·중국 등 선진 경제권에 집중되고, 개발도상국은 뒤처지는 ‘에너지 불평등’이 심화되고 있다”며. “기후 대응의 성패는 ‘우리 모두의 레이스’가 되어야 하며, 포용적이고 공정한 에너지 전환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구테흐스 총장은 “AI 등 혁신기술이 스마트그리드, 에너지 효율화에 이바지할 수는 있지만, 디지털 전환 이면에 감춰진 폭발적 전력수요 증가를 간과해선 안 된다”고도 덧붙였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25년 7월 23일(현지시간) 워싱턴 D.C.의 앤드루 W. 멜론 오디토리움에서 All In Podcast와 Hill & Valley Forum이 주최한 ‘AI 경쟁에서 승리하기(Winning the AI Race)’ 서밋에서 서명한 행정 명령을 보여주고 있다. 트럼프는 이 행사에서 ‘AI 액션플랜(Action Plan)’과 관련된 행정 명령에 서명했다. 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25년 7월 23일(현지시간) 워싱턴 D.C.의 앤드루 W. 멜론 오디토리움에서 All In Podcast와 Hill & Valley Forum이 주최한 ‘AI 경쟁에서 승리하기(Winning the AI Race)’ 서밋에서 서명한 행정 명령을 보여주고 있다. 트럼프는 이 행사에서 ‘AI 액션플랜(Action Plan)’과 관련된 행정 명령에 서명했다. AFP=연합뉴스

트럼프 “그린투자 5천억 달러 삭감”...美 기후기술 산업 ‘빨간불’

한편,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최근 정책 변화는 기후기술(Climate Tech) 및 AI 산업의 지속가능경영에 위협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지난 1일 통과한 트럼프 행정부의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ne Big Beautiful Bill)’으로 인해 기존 미국 내 그린 투자 5000억달러 규모가 삭감되고 있어 국토이용 및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인허가가 대폭 느려진 점도 확인된다.

이에 더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3일(현지시각) AI와 데이터센터 등 첨단산업 발전을 명목으로 ▲대대적인 환경규제 완화 ▲신규 가스·석탄·원전 확대 ▲청정에너지 인센티브 신규 제한 등의 내용이 담긴 ‘AI 액션 플랜(Action Plan)’을 공식 발표했다.

이러한 일련의 정책 변화로 인해 미국 내 기후기술 및 청정에너지 산업은 투자 위축과 인허가 지연 등 이중고를 겪고 있으며, 업계에서는 “친환경 혁신 생태계 조성에 역행하는 변화”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미국 이민정책, 기후·AI 인재유입에 타격” 업계 경고

트럼프 행정부가 내세운 이민 규제 강화 정책이 미국 기후기술·AI 분야 인재 유입을 위축시키고, 혁신 중심지가 해외로 이동할 수 있다는 우려도 업계에서 제기됐다.

미국 벤처 캐피털 코슬라 벤처스(Khosla Ventures) 창립자 비노드 코슬라는 “트럼프 행정부의 이민 규제가 미국 내 기후기술·AI 분야의 혁신과 인재 유입에 대대적인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유럽, 캐나다, 인도 등으로 인재 유출이 가속화되고, 혁신의 중심이 이동할 것”이라며 15일(현지시간) 시애틀에서 열린 블룸버그 그린 ‘시애틀 컨퍼런스(Bloomberg Green Seattle)’ 현장 인터뷰에서 밝혔다. 그는 “이런 정책은 기후 위기 대응에 필요한 핵심 기술 혁신을 늦추고, 미국의 글로벌 경쟁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업계 전문가들은 “기술산업의 친환경 전환은 규제와 인센티브, 글로벌 인재 확보, 지속 가능한 에너지 공급망이 맞물려야 가능하다”며 “지금의 규제 후퇴 흐름이 장기적으로 산업 역량과 전 세계 기후 대응 목표 달성에 악영향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ESG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