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 대륙 가뭄 피해...파나마 운하까지 마비
"파나마 운하 마비, 올리브유 가격 두 배...전방위 경제 타격"
"조기경보·자원공유·취약계층 지원...종합적 가뭄 대책 필요"
[ESG경제신문=주현준 기자] 유엔(UN)이 2023년부터 2025년 전 세계를 강타한 가뭄을 “역사상 가장 심각한 전세계적 재난”으로 규정했다. 엘리뇨와 기후변화가 결합해 발생한 이번 가뭄은 단순한 이상 기후를 넘어 식량, 물, 에너지 시스템을 동시에 위협하며 전 지구적 위기를 촉발하고 있다.
관련기사
- 폭염 속 ‘돌발가뭄’ 확산…“현행 예경보 체계로는 대응 한계”
- 사막으로 몰려가는 데이터센터에 물 부족 경고등 켜졌다
- “기후 재난 3분의 2는 상위 10% 부자가 원인 제공”
- 기후변화 못지않게 물 문제 중요..."기업 대응 소극적"
- 국내 기업들 '물 리스크' 커져..."단기 재무 영향 22조원"
- 데이터센터 6% 기후재난 고위험군...'인프라 손실 리스크' 노출
- 美 텍사스주 블랙아웃 가능성 0.3%로 급속 개선...비결은 ‘배터리’
- UN, '30년까지 AI 데이터센터 '청정에너지 전환' 요구
- 농업인, 한전·발전사 상대 첫 손배소...기후피해 책임 물어
- 150개 금융기관, “산림 벌채 유발 자금 8.9조달러 제공”
주현준 기자
news2@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