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35년 NDC 4개 경로별 전력 부문 감축 목표안 제시
화석연료 전환 관건…“재생에너지 확대 및 탈석탄 이행 주요 쟁점”
재생에너지 비중 감축경로별 29~37% 이상 확대...원전 30%대 유지

[ESG경제신문=김현경 기자] 환경부가 제시한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의 4가지 감축 경로를 달성하기 위해 전력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8년 대비 68%에서 79% 이상 줄여야 한다는 정부 계획안이 나왔다.
환경부 산하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최민지 센터장은 23일 한전아트센터에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주최한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대국민 공개 논의 토론회: 전력 부문’에서 이같이 밝혔다.
환경부는 지난 8일 2035 NDC에 대해 4가지 감축 경로를 제시하고 범국민 공개 논의를 추진해 초안을 확정하겠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지난 19일 총괄 토론회를 시작으로 약 한 달간 전력, 수송, 산업 등 부문별 토론회를 거쳐 오는 11월 초까지 2035 NDC를 확정해 유엔에 제출할 계획이다.
정부가 제시한 4가지 감축경로는 ▲산업계 등에서 요구하는 40%대 중후반 감축 ▲매년 일정하게 감축하는 선형 경로에 따른 53% 감축 ▲IPCC가 전 지구적 관점에서 제시하는 61% 감축 ▲ 지구적 책임을 다하는 차원에서 시민사회가 제안한 67% 감축이다.
정부 계획안에 따르면, 이를 위한 전력 부문의 감축률은 ▲2035 NDC를 48%로 설정할 경우 전력 부문 68% 감축 , ▲53%로 목표 설정 시 71~73% 감축, ▲61%와 67% 목표 설정 시 최소 79% 이상이다.
2018년 대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40% 감축을 제시한 2030년 NDC는 전력 부문의 44.4% 감축 계획을 담고 있다.
2018년 전력 부문 배출량은 2억 8300만톤으로 집계됐는데, 2035년에는 경로별 전력 부문의 배출량을 9200만톤~ 6100만톤 이하로 감축해야 한다.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전력 부문의 감축량은 6470만톤으로 집계됐는데, 정부는 2035년까지 1억 2600만톤에서 1억 4200만톤 이상을 추가 감축한다는 계획이다.
최 센터장은 “재생에너지와 석탄, 액화천연가스(LNG)의 믹스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동되는 수치이기 때문에 범위로 제시를 했다”며 “재생에너지 잠재력 및 우리의 감축 노력 등을 감안했을 때 적정 재생에너지 믹스를 고려한 시나리오 안을 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이를 달성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 화석연료를 무탄소 에너지로 개선하는 전력 믹스의 개선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재생에너지 비중 29~37% 이상 확대
정부 계획안에 따르면 2035 감축 경로를 달성하기 위해선 현재 9% 수준에 불과한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2035년까지 경로별로 ▲29%, ▲32~33% ▲37% 이상으로 확대해야 한다.
반면, 지난해 발전 비중 28%에 달하는 석탄은 ▲8% ▲7~6% ▲5% 이하로 감소한다. 현재 32%를 차지하는 원전은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에 따라 계획된 설비용량을 반영해 ▲34% ▲32~33 ▲31%로 기존 수준을 유지한다.
특히 정부는 인공지능(AI)의 확대와 건물, 수송 등 타 부문의 전력화 등으로 전력 수요가 지난해 550TWh(테라와트시)에서 2035년 619TWh까지 급증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재생에너지 누적 발전 용량은 현재 34GW(기가와트) 수준에서 2035년까지 최소 130GW~160GW 이상으로 급속히 확대하는 계획을 담았다.
앞서 김성환 환경부 장관은 2030년 재생에너지 발전 용량을 100GW로 확대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는데, 이를 달성한 이후에도 2035년까지 매년 6~20GW씩 재생에너지 발전 용량을 확대해야 하는 셈이다.
최 센터장은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목표치)을 범위로 제시했지만, 굉장히 많은 수준의 재생에너지 확대와 관련 노력이 필요한 수치”라며 “이를 달성하기 위한 특단의 노력을 다해야 하며 신규 전력망 재편, 2040년 탈석탄 국정과제 이행을 위한 로드맵 수립 등의 과제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주요 과제로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입지 발굴 ▲에너지저장장치(ESS) 확대 및 전력 수요 관리 등 재생에너지 간헐성 보완 ▲에너지 고속도로 등 송전망 확충 ▲재생에너지 관련 산업 육성 및 ▲탈석탄 이행 중 정의로운 전환 모색 등이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헌법불합치' 탄중법 개정, 2035NDC와 연계해 신속 논의해야”
- 헌재 판결·ICJ 권고에 부합하는 ‘35년 NDC는 "65% 감축”
- 환경장관 "2030년 재생에너지 발전용량 100GW 돼야"...목표 30%↑
- EU, 2035 NDC 이달내 제출 끝내 무산… 회원국 간 이견
- 호주, 2035 NDC ‘05년 대비 탄소배출량 최대 70% 감축
- AI, 기후위기 대응의 '게임 체인저'로 부상…적절한 규제가 관건
- 정부, 2035 NDC 달성 위해 "'35년 내연차 판매 제한도 검토"
- “재생에너지 세제 개편으로 발전단가 최대 25% 인하 가능”
- “수송부문 탄소세 도입하면 ‘35년까지 10% 추가 감축 가능”
- 2035 NDC(안) 국회 공청회... 국회기후변화포럼 주최
- 건물부문 배출량 절반으로 줄인다는데…ZEB 인증 고작 0.25%
- 2035 NDC 수립 국가 63개국...전세계 온실가스 배출량 절반 차지
- ‘60년 에너지 전환 전망 나와...“'50년 탄소중립 달성 난망"
- 트럼프 화석연료 정책이 세계 에너지 전환에 미칠 영향은?
- 신규 원전 2기 건설 미궁 속으로…"에너지 믹스 다시 짠다"
- 재생E 확대보다 시급한 전력망..."주민수용성 확보가 관건"
- 기후부 장관 "2035NDC 부처간 최종협의 단계...국회와 논의 거칠것"
- PPCA 가입 이어 조기 탈석탄 입법화 시동…정의로운 탈석탄법 발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