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미 공화당, 반ESG 깃발...집권 17개 주에서 올들어 44개 '안티-오크' 법안 내

  • 기자명 이신형 기자
  • 입력 2022.07.08 11:20
  • 수정 2022.07.10 02:01
  • 댓글 0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 보수의 반격에 앞장...ESG 투자 주도하는 블랙록 등 대형 금융기관 겨냥

월가의 뉴욕증권거래소 앞을 지나는 행인. AP=연합
월가의 뉴욕증권거래소 앞을 지나는 행인. AP=연합

[ESG경제=이신형기자] 미국 공화당이 집권한 주에서 총기 규제와 기후변화, 인종 다양성 등 사회적인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금융기관을 처벌하기 위한 정책이 쏟아져나오고 있다.

로이터통신의 분석에 따르면 공화당이 집권한 17개주에서 올해 상반기에만 최소 44개의 이런 법안이 제출되거나 법이 제정됐다. 지난해 1년간 나온 관련 법안이나 법은 10여 개에 불과했다.

’안티 오크(Anti-woke)‘법 또는 정책으로 불리는 이런 조치가 급격하게 늘어남에 따라 대다수 미국 대기업들은 직원과 투자자로부터의 ESG 경영 강화 압력과 이에 반하는 보수 진영의 정책 사이에서 줄타기를 해야 하는 새로운 리스크에 직면했다고 로이터는 보도했다.

’안티 오크’는 ‘오크 자본주의(woke-capitalism)’에서 나온 말이다.

최근 테드 크루즈 상원 의원 등 공화당 정치인들이 블랙록이나 JP모건 등 미국 금융기관들의 ESG 투자를 “깨어있는 척하는” ‘오크 자본주의’로 규정하자 제이미 다이먼 JP모건체이스 CEO가 이를 정면으로 반박하면서 미국에서 ‘오크 자본주의’ 논쟁이 격화됐다.

국내에 ‘깨어있는 자본주의’로 소개된 ‘오크 자본주의’는 기업이 기후변화나 인종, 젠더 이슈에서 사회정의를 추구하는 것처럼 행동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 사례를 가리키는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웨스트버지니아 블랙록 등 6개 대형 금융사 제재

로이터에 따르면 웨스트버지니아주는 올해 블랙록 등 6개 대형 금융회사에 주 정부 계약 사업 참여 기회를 박탈한다는 서한을 보냈다.

블랙록과 함께 서한을 받은 곳은 JP모건체이스, 웰스파고, 모건스탠리, 골드만삭스, US뱅코프 등 미국에서 ESG투자에 앞장서고 있는 대표적 금융회사들이다.

아칸소주 지역 언론에 따르면 아칸소주도 블랙록에 대해 ESG 투자를 문제 삼아 같은 조치를 내렸다.

텍사스주는 새로 마련된 주 법을 근거로 JP모건과 뱅크오브아메리카, 골드만삭스의 지방채 시장 참여를 제한했다. 지난해 주 의회에서 통과된 이 법은 에너지기업에 대한 투자를 거부(boycott)하거나 무기산업을 차별하는 기업의 사업을 제한하는 법이다.

이런 법이나 법안은 주에서 사업을 벌이는 다양한 기업의 사업 참여를 제한하지만, 금융기관을 조준한 경우가 많다. 금융기관이 화석연료산업이나 방위산업의 자금조달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관련법이나 법안은 해당 금융기관의 지방채 인수 업무와 주 정부 기금의 운용이나 예치, 주 정부 신용카드 발급 업무 등을 금지하고 있다.

공화당 정치인들은 금융기관의 ESG 투자는 자본의 합법적인 자본 조달의 기회를 박탈하는 행위라고 비판한다.

블랙록 등 6개 금융기관의 주 정부 계약 사업 참여 제한을 주도한 릴리 무어 웨스트버지니아주 재무장관은 “그들(금융기관)은 자본의 힘을 이용해 그들의 생각과 이념을 우리 모두에게 강요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런 조치로 대형 금융기관들이 큰 피해를 입지는 않을 전망이다.

웨스트버지니아주의 경우 주 정부가 운용하는 자금은 80억 달러로 운용자산 총액이 10조 달러를 운용하는 블랙록에게 타격을 줄 정도는 아니다.

웨스트버지니아주 연기금도 블랙록이 운용하는 펀드에 투자하고 있으나, 무어 장관은 연기금 운용에 관여할 수 있는 권한이 없다.

민주당이 집권한 캘리포니아나 워싱턴주 등은 공화당이 집권한 주와 반대의 행보를 보이고 있다.

워싱턴주는 화석연료 사업에 자금을 지원하는 금융기관에 “기후 회복력 수수료(climate resiliency fee)”를 부과했다.

캘리포니아주는 미국 최대규모의 연기금인 캘퍼스(CalPERS)의 화석연료 기업 투자를 금지하는 법 제정을 고려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주는 공화당이 집권한 주만큼 많은 징벌적 조치를 추진하지 않고 있다.

공화당과 금융사 갈등 낙태 문제로 확산

공화당과 금융사와의 갈등은 낙태 문제로 확산되고 있다.

지난달 연방 대법원은 임신 24주 이전까지 자유롭게 낙태할 수 있도록 한 낙태권을 폐기했다. 따라서 낙태 허용 여부는 주정부와 주의회가 결정할 문제가 됐다.

금융사를 포함한 대다수 주요 기업들은 낙태를 금지하는 주에서 근무하는 직원이 낙태를 허용하는 주에서 낙태 수술을 받을 수 있도록 여행비를 지원하기로 했다.

그러자 공화당 소속 브리스코에 케인 텍사스 주의회 의원은 이런 여행비 지원을 불법화하고 텍사스주에 있는 기업의 낙태 관련 여행비 지원을 금지하는 법안을 제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안티-오크’법이나 법안은 전통적으로 보수적인 색체가 짙은 지역뿐 아니라 아리조나나 오하이오주와 같이 공화당과 민주당이 번갈아 집권하는 이른바 ‘퍼플 스테이트(purple states)’ 지역으로도 확산하고 있다.

사안별로는 올해 입안됐거나 통과된 44개의 법안이나 법 중 총기류 규제와 에너지 분야 관련 법이나 법안이 최소 30개에 달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ESG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