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한국 실정에 맞는 ESG 공시기준 마련할 것
국제적 논의와 함께 산업구조 특성과 기업 부담도 고려

[ESG경제=이신형기자]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22일 "한국 실정에 맞는 ESG 공시 제도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한국기업지배구조원 개원 20주년 기념 좌담회’에 참석해 “국내 ESG 공시 의무화에 대비해 ESG 공시 제도를 구체화해 나가겠다”며 “글로벌 논의 동향뿐만 아니라 우리 산업구조의 특성이나 기업의 현실적 부담도 균형있게 감안해 우리 실정에 맞는 제도 정비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국내에서는 2025년부터 자산규모 2조원 이상 상장 대기업에 한해 지속경영 공시가 의무화 되고 2030년에 모든 코스피 상장 기업으로 대상이 확대된다.
김 위원장은 또 "ESG 평가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평가기관의 평가모델 적정성 확보를 위해 자율준수 기준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평가모델의 적정성 여부를 시장에서 판단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공개하고 이해상충을 방지하기 위한 자율준수 기준을 만든다는 얘기다.
이와 함께 ESG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에 대해 교육과 컨설팅, 정책금융기관이 금융지원도 강화하겠다고 김 위원장은 밝혔다.
김 위원장은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에너지 위기 등으로 ESG가 중장기적으로 실천가능한지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기도 하지만, ESG는 우리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계속 고민해야 할 이슈”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이신형 기자
shlee@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