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주주행동과 환경단체 요구 갈수록 커져
국내 금융계 석탄 투자 비율 재생에너지보다 커

[ESG경제=이신형 기자] 기업과 금융기관에 대한 투자자들의 탄소 감축 요구가 점점 거세지는 가운데, 일본의 3대 은행과 주요 기업이 올해 주총에서 기후행동에 나서라는 글로벌 환경단체와 투자자의 강한 압력에 직면할 전망이다. 일본 금융기관들은 다른 선진국 금융기관보다 기후변화 대응에 소극적이라는 평가를 받아 왔다.
로이터통신의 10일 보도에 따르면 호주의 마켓포스(Market Forces)와 일본의 키코 네크워크(Kiko Network)가 주도하는 투자자그룹이 미쓰비시UFJ그룹과 스미토모미쓰이금융그룹, 미즈호금융그룹에 화석연료 산업 투자를 줄이도록 압박하고 있다. 이 그룹은 6월 열리는 이들 은행의 주주총회에 관련 주주제안을 제출할 계획이다. 환경단체인 '지구의 친구들(Friends of Earth)' 일본 지부와 레인포레스트 액션 네트워크(Rainforest Action Network)도 이 그룹에 참여하고 있다.
이 그룹은 도쿄전력과 추부전력, 미쓰비시상사의 주총에도 기후행동에 나서라는 주주제안을 낼 계획이다. 지난해 도쿄전력과 추부전력, 미쓰비시상사, 스미토모미쓰이금융이 유사한 주주제안을 받았다. 이들 기관은 신규 석탄화력발전 투자 중단을 약속했다.
국내 금융기관들도 화석연료 투자 비중이 높아 행동주의 투자자들의 표적이 될 가능성이 있다. 한국책임투자포럼과 양이원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함께 발표한 ‘2022년 화석연료 금융 백서’에 따르면 2022년 말 현재 대출과 채권, 주식 투자를 통한 국내 금융기관의 석탄 자산은 56.5조에 달한다. 이에 비해 2012년부터 2022년 6월말까지 10년간 재생에너지 투자는 37조2000억원에 그쳤다.
다른 화석연료를 제외한 석탄만 놓고 봐도 재생에너지보다 많은 금액이 투자됐다. 2016~2021년 국내 금융기관의 재생에너지와 석탄 투자비율은 1:1.03을 기록했다. 이런 가운데 세계 최대 의결권 자문사인 ISS(Institutional Shareholder Service)는 올해 최소한의 기후변화 대응 조치를 취하지 않은 기업 이사의 재선임을 반대하라는 내용의 한국 기업 주주총회 의결권 행사지침을 공개해 눈길을 끌었다.
관련기사
- 거세지는 'K-주주행동주의'...유행 아닌 대세로 봐야할 이유
- 지배구조 개선과 주주제안 증가...한국 증시에 기회
- 글로벌 금융사, 화석연료 자금지원 중단 압박에 직면
- 세계적 의결권 자문사들, 공화당 反ESG 공세에 맞불
- ISS, 한국에도 기후변화 대응 소홀 기업 이사 선임 반대 권고
- 자산운용사 ESG 이슈 지지 약화 "일시적 현상"...에너지 위기가 주 요인
- 미국 올해 주주총회서 반ESG 안건 늘어...주주들은 알아차리고 외면
- ESG는 통제할 위험 or 포착할 기회?...금융사별 인식 차 여전
- 세계 최대 투자자그룹 클라이밋 액션 100+, 삼성전자 등 집중 관리
- 금융사, 증권인수 업무 탄소배출량 33% 반영 가닥
- 뱅가드, 기업 환경‧사회 분야 주주제안 중 고작 2% 지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