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LG스마트파크에 태양광 발전소 2025년 완공
美뉴욕 등지서 플라스틱 저감 캠페인…폐가전 수거

[ESG경제=김도산 기자] LG전자가 2050년까지 국내외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전력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는 RE100(Renewable Energy 100) 이니셔티브에 가입했다. RE100은 기업 활동에 필요한 모든 전력을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로 충당하겠다는 목표를 내세운 캠페인이다.
LG전자는 RE100 달성을 위해 2030년 60%, 2040년 90%, 2050년 100% 순으로 재생에너지 전환 비율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5일 밝혔다. 구체적 방안은 △사업장에 설치된 고효율 태양광 패널을 활용한 재생에너지 발전·사용 확대 △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구매 △재생에너지 전력구매계약(PPA) △한국전력 녹색프리미엄 참여 등이다.
이 회사는국내 발전사업자 GS EPS와 협업해 경남 창원 LG스마트파크 통합생산동 옥상에 축구장 3개 크기로 '직접 PPA' 방식 태양광 발전소를 구축하고 있다. 2025년 최종 완공 목표다. 이 중 일부는 지난해 12월 준공해 운영에 들어갔다.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를 포함해 미국 뉴저지 사옥, 인도 노이다 및 태국 라용 가전공장 등 국내외 사업장에서는 옥상 등에 설치한 태양광 패널로 생산한 에너지를 사용하고 있다. LG전자는 오는 2030년까지 이산화탄소의 직·간접(스코프 1·2) 순 배출량을 '0'으로 만들겠다는 탄소중립 2030 계획도 밝힌 바 있다.
한편 LG전자는 세계 환경의 날(6월 5일)을 맞아 이달 말까지 미 뉴욕 타임스스퀘어와 영국 런던 피커딜리 광장 대형 전광판을 통해 유엔환경계획(UNEP)이 제작한 플라스틱 절감 캠페인 영상을 상영한다.
국내에서는 이달 말까지 중소형 폐가전 수거 캠페인을 한다. 폐가전을 보유 중인 고객은 가까운 LG베스트샵 등에 제품을 반납하고 이를 자신의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에 인증해 이벤트에 응모하면 된다. 추첨을 통해 총 53명에게 폐가전에서 추출한 재활용 플라스틱을 제품 외관에 적용한 LG 퓨리케어 에어로퍼니처 3대, 틔운 미니 50대를 경품으로 준다.
이삼수 LG전자 최고전략책임자(CSO) 부사장은 "재생에너지 100% 전환과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실천해 LG전자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비전인 '모두의 더 나은 삶'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 기후산업엑스포…기후변화 대응 기술에 큰 관심
- 민관 합동 CFE 포럼 출범...'RE100' 대안 찾는다
- “중소기업 RE100 돕습니다”…대한상의 맞춤형 지원 나서
- RE100 기업, 그린수소 발전 전력 직접 산다
- CF100 꼭 필요한데…국내 기업 82% "참여 의향 없다"
- 골드만의 일침...“지금 ESG 투자 전략은 틀렸다”
- 정부, 소형 태양광 우대제도 폐지..."전력망 유연화로 대응해야"
- LG전자, 협력사 ESG 경영 돕는 ‘1천억원 펀드’ 조성
- RE100 기업 직접 PPA 관심 고조...전기요금 올라 구매 매력 커져
- LG전자, 온실가스 22만t 줄였다…재활용 플라스틱은 25%↑
- 삼성·LG전자, 디자인 공모전 'IDEA 2023' 휩쓸었다
- LG전자, ‘에너지절약 고효율 가전’으로 유럽시장 겨냥
- LG전자, 美 컨슈머리포트 평가에서 '올해의 세탁기' 1위 싹쓸이
- LG전자, 올해 첫 도입된 'E-순환 우수제품' 최다 인증 받았다
- SK, 연 19만 가구 분량 ‘재생에너지 전력구매계약’ 체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