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러, 북극해 통해 중국으로 원유 운송…"환경 오염 우려"

  • 기자명 김도산 기자
  • 입력 2023.07.19 15:38
  • 댓글 0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수에즈 통과 항로보다 운송시간 30% 줄어…"해양 생태계 위협"

러 소프콤플로트의 LNG 운반용 쇄빙선. 사진=EPA연합뉴스
러 소프콤플로트의 LNG 운반용 쇄빙선. 사진=EPA연합뉴스

[ESG경제=김도산 기자] 러시아가 해양 오염의 위험 경고에도 북극해를 통과하는 '북극항로'(NSR)를 이용해 중국으로 원유를 수송하고 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8만t 이상 아프라막스급 유조선 '프리모르스키 프로스펙트'가 중국 산둥성 르자오(日照)로 원유를 나르기 위해 노르웨이 해안을 따라 북극해를 오가고 있다.

러시아 최대 해운 회사 소프콤플로트가 소유한 이 유조선은 지난 11~12일 러시아 북서부 발트해 연안 항구 우스티-루가에서 73만 배럴의 우랄산 원유를 적재했으며, 8월 12일 목적지에 도착할 예정이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전에 따른 유럽연합(EU) 제재로 기존 유럽 대신 중국과 인도 등 새로운 시장으로 원유 수출지역을 변경했다.

하지만 중국과 인도는 배로 가기에는 너무 멀어 원유 수출 거리와 시간, 비용 등이 대폭 증가했다. 러시아가 북극항로를 이용한 것도 이 때문이다.

러시아 북부 해안의 북극해 해역을 통과하는 북극항로는 지중해와 수에즈 운하를 이용하는 남쪽 항로에 비해 운항 시간을 최대 2주 또는 약 30% 단축시켜 준다. 지구 온난화로 북극해 얼음이 녹으면서 북극항로를 이용할 수 있는 기간도 늘어났다.

하지만 환경단체들은 환경단체들은 북극항로의 상업적 이용이 탄소 배출을 늘리고 해양 생태계를 위협한다며 북극해를 이용하는 것에 반대해왔다.

그렇지만 북극항로를 운영하는 러시아 국영기업 로스아톰과 원유생산업체들은 이 항로를 통한 원유 운송을 늘리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러시아 북부 북극해 연안에서 액화천연가스(LNG) 사업을 하는 '노바텍'은 2024년 초부터 북극항로를 통한 연중 LNG 운송을 시작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ESG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