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한국인 성인 행복지수…10점 만점에 평균 6.68점

  • 기자명 김도산 기자
  • 입력 2023.08.03 10:25
  • 댓글 0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관적으로 행복하다고 느끼는 비율은 전체의 34.7%
사회활동 참여는 행복↑…의료서비스 못 받으면 행복↓

스스로 느끼는 행복감이 높지 않은 한국인들. 이미지=연합뉴스
스스로 느끼는 행복감이 높지 않은 한국인들. 이미지=연합뉴스

[ESG경제=김도산 기자] 우리나라 성인이 스스로 느끼는 삶의 만족감, 즉 행복지수가 10점 만점에 평균 6.68점으로 높지 않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급속하게 진행되는 고령화와 저출산 상황에서 인구 집단의 질을 유지하고 보존하려면 건강질병관리청의 공식 학술지 '주간 건강과 질병'에 실린 '생애주기별 한국인의 행복지수 영향 요인'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지역사회건강조사에 참여한 19세 이상 성인 22만6,545명(남자 10만2,284명, 여자 12만4,261명)을 대상으로 행복지수와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전체 조사 대상의 행복지수는 10점 만점에 6.68점이었다.

주관적으로 행복하다고 느끼는 비율은 전체의 34.7%였는데 남자는 35.4%, 여자는 34.2%로 남자가 약간 높았다.

주관적 행복감의 인지율을 생애주기별(연령별)로 나눴더니 19∼44세 39.5%, 45∼64세 35.3%, 65∼74세 29.7%, 75세 이상 25.7% 등으로 나이가 많아질수록 낮아졌다.

연구진은 "노인이 될수록 행복하지 않다고 해석할 수 있는 데, 이 노인빈곤율과 노인 자살률이 높은 현재 한국 사회의 상황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가구소득별로는 월 99만원 이하 23.1%, 월 100만∼299만원 이하 31.6%, 월 300만∼499만원 이하 39.8%, 월 500만원 이상 49.1% 등으로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감이 높았다.

배우자와 같이 사는 경우가 이혼·별거·사별·미혼 등의 이유로 배우자가 없는 경우보다 주관적으로 더 행복하다고 여기는 것으로 나왔다.

또 ▲자원봉사활동이나 종교 친목 여가(레저) 등 사회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가족·이웃·친구 등 주변과 활발하게 접촉하고 ▲건강 상태가 양호하다고 스스로 생각하며 ▲사회 물리적 환경에 만족하고 ▲아침 식사를 거르지 않고 충분히 잠을 깊이 자는 것도 행복감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반면에 필요 의료서비스를 받지 못하고 관절염·당뇨병·고혈압 등 질병으로 고통받는 것은 행복감을 낮췄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ESG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