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자부, 2037년까지 25동 유치 추진
수도권 집중 완화...최대 10조원 사업

[ESG경제=홍수인 기자] 호남 지역의 풍부한 태양광 전기를 활용하는 대규모 데이터센터 집적화 단지 건설이 추진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전남 해남군 기업도시 솔라시도 홍보관에서 해남군 산이면 구성리 일대에 데이터센터 파크 조성 사업을 추진하는 내용의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협약 참여자는 전라남도, 해남군, 한국전력, 전남개발공사 및 7개 투자기업이다. 7개 투자기업은 데이터센터 파크 조성에 참여한 삼성물산, LG CNS, NH투자증권, 보성산업, ㈜TGK, 코리아DRD, 데우스시스템즈다.
7개 투자 기업은 데이터센터 집적화 단지를 조성해 40메가와트(MW) 규모의 데이터센터 25동을 오는 2037년까지 단계적으로 유치할 계획이다. 총 목표 규모는 1기가와트(GW)이다. 전남도와 전남개발공사는 재생에너지가 데이터센터에 공급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우선 2027년까지 부지와 도로를 본격적으로 조성하고, 첫 5동 투자 유치가 이뤄지고 나면 데이터 센터 구축이 본격화한다.
전남 지역은 태양광을 중심으로 한 재생에너지 자원이 풍부하고 상대적으로 전력 계통 여력이 많아 RE100(재생에너지 100%) 달성의 적격지로 꼽힌다. 작년 말 기준 우리나라의 태양광 발전 설비용량 20.9GW 중 호남 지역 용량은 8.8GW로 전체의 40%를 넘었다.
정부는 '전기 먹는 하마'로 불리는 데이터센터가 비수도권 지역으로 분산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전국에 구축된 데이터센터 가운데 약 60%, 2029년까지 신설 계획인 센터의 약 86%가 수도권에 집중돼 있어 전력 공급과 수요 측면에서 불균형이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 에너지 사용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5가지 실천 방안
- ‘온실가스 배출량’ 지난해 3.5% 줄었다…정부 "원전 덕분"
- 내년 세계 전력 수요 급증 전망..."재생에너지 전력으로 충당 가능"
- 올해 태양광 투자가 석유 투자 추월…'저탄소 투자' 새 역사
- 삼성전자‧TSMC, 탄소감축 쉽지 않네...아시아 반도체업체들 RE100 '한숨'
- EU, 올 상반기 화석연료 발전 비중 33%...사상 최저
- 한양, 세계 최대 그린에너지 투자운용사와 재생에너지 협약
- 경기도, ‘26년까지 9GW급 태양광 발전 설비 구축...태양광 이격거리 규제 폐지 논의
- 삼성물산, 美 텍사스에 '3GW 규모 태양광·ESS' 개발한다
- 전남, 가을에 걷고 싶은 숲길 5곳…대상에 ‘화순유마사 단풍숲길’
- 美 태양광시장 2050년까지 10배로 확대…"우리 기업에 기회"
- 전남 인구, 내년에는 180만명 밑으로 내려간다
- ‘맛의 예술’ 남도음식문화큰잔치, 6∼8일 여수박람회장서 열려
- SK에코플랜트, 아일랜드 데이터센터에 친환경 연료전지 공급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