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일랜드는 데이터센터의 허브…연료전지, 화석연료 대체 가능

[ESG경제=김도산 기자] SK에코플랜트가 아일랜드에 세워지는 데이터센터에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를 공급한다.
SK에코플랜트는 지난 2일 서울 종로구 본사에서 아일랜드의 발전·신재생에너지 전문 개발사인 럼클룬에너지와 신규 데이터센터 연료전지 공급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협약에는 태양광, 수소,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신재생에너지 관련 협력 내용도 담겼다.
이번 협약식에는 박경일 SK에코플랜트 사장과 나이젤 림스 럼클룬에너지 대표, 사이먼 코브니 아일랜드 기업통상고용부 장관 등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으로 SK에코플랜트는 럼클룬에너지와 함께 아일랜드 수도 더블린에서 서쪽으로 약 80㎞ 떨어진 캐슬로스트 지역에 조성되는 데이터센터의 전력 공급원으로 연료전지를 도입하기로 했다.
SK에코플랜트는 단순 시공을 넘어 사업개발과 지분 투자, 파이낸싱, 연료전지 설계·조달·시공(EPC) 등을 담당할 계획이다. 이번 협력을 바탕으로 유럽의 데이터센터 전력공급 시스템과 신재생에너지 시장에 적극 진출할 계획이다.
사이먼 코브니 아일랜드 기업통상고용부 장관은 "아일랜드에 연료전지를 전력 공급원으로 하는 데이터센터가 건설된다면 유럽에선 최초 사례가 된다"며 "유럽 최초의 연료전지 기반 데이터센터는 최신 기술과 친환경 솔루션이 결합한 미래 데이터센터의 좋은 모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아일랜드는 서늘한 날씨로 냉방 효율이 높은 데다, 저렴한 전기료, 낮은 법인세 등의 특성 덕에 데이터센터의 허브로 꼽힌다. 더블린에는 구글, 아마존, 메타 등의 센터를 포함한 60여개의 데이터센터가 있다.
다만 ‘전기 먹는 하마’로 불리는 데이터센터의 막대한 전력 수요를 충족하지 못해 신규 데이터센터 유치에 차질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아일랜드 국영 전력회사 얼그리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아일랜드 전체 발전량의 약 18%가 데이터센터에 사용됐으며, 2028년 30% 수준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연료전지는 좁은 부지에서도 높은 효율로 전력을 생산할 수 있어 대표적인 도심형 분산 전원이자 화석연료를 대체할 데이터센터 전력 공급원으로 꼽힌다. 특히 2018년 SK에코플랜트와 전략적 협력관계를 맺은 미국 연료전지 업체 블룸에너지의 SOFC는 3세대 연료전지로, 현존하는 연료전지 가운데 가장 높은 발전효율을 가진 것으로 평가된다.
박경일 사장은 "이번 협력은 아일랜드에 연료전지 사업을 포함한 친환경 에너지 솔루션을 제공할 기틀을 구축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지자체 ESG 현장 가다] ⓸ 지자체, 재생에너지 개발 열기 뜨겁다
- [지자체 ESG 현장 가다] ⓸-2 박창환 전남 부지사 “산업시설 유치해 지역소멸 대응”
- 한양, 세계 최대 그린에너지 투자운용사와 재생에너지 협약
- 해남, 풍부한 태양광 바탕으로 ‘데이터센터 집적지’ 된다
- 카카오 '먹통사태' 사회적책임 실종...‘ESG 평가’ 매우 부정적
- 산학연 전문가 참여 ‘풍력산업 혁신포럼’ 출범...제도 개선 방안 마련
- "AI 활용해 기후변화 피해 막자"...COP28 앞두고 구글 제안
- SK에코플랜트, 환경업 진출 3년 만에 업계 선도기업 '우뚝'
- 'ESS산업 발전협의회' 발족…"2036년 세계점유율 35% 달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