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협상대상자 선정…우리나라 연간 탄소배출량과 저장용량 비슷

[ESG경제=김도산 기자] 포스코인터내셔널이 미국 텍사스주 토지관리국이 주관하는 탄소 포집·저장(CCS)사업 국제입찰에서 우선협상 대상자로 선정됐다고 6일 밝혔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10% 지분을 갖고 스페인 렙솔, 미국 카본버트, 일본 미쓰이 미국법인 등 글로벌 에너지기업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이번 입찰에 참여했다. 미국 해상 탄소저장소 개발에 나선 것은 포스코인터내셔널이 국내에서 처음이다.
사업 대상 지역은 텍사스주 코퍼스 크리스티 인근 해상 578㎢로 서울시 면적과 비슷한 수준으로, 개발 시에는 시추와 플랫폼·해저 파이프라인 설치를 거쳐 수십 년간 저장소에 이산화탄소를 주입할 수 있다.
이곳에 저장할 수 있는 탄소 용량은 우리나라 연간 배출량과 비슷한 6억t 이상으로 예상된다고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전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개발 가능성, 사업의 용이성, 정책과 산업 측면 등에서 미국 텍사스 연안이 CCS 사업의 최적 입지라고 평가하고 있다.
텍사스 연안은 수많은 지질 데이터가 축적돼 있고 이를 토대로 이산화탄소 저장이 쉬운 지역을 선택했기 때문에 개발 가능성, 사업의 용이성 측면에서 CCS 사업의 최적 입지로 평가받고 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육상 CCS 사업의 경우 민간 소유지로 파이프라인이 통과하기 때문에 사업이 지연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반면, 이번 사업은 정부 소유의 해상에서 진행되므로 사업 진행이 훨씬 수월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정책·산업 측면에서도 텍사스 연안 탄소저장소 개발은 유리한 측면이 있다. 미국 정부는 지난해 제정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통해 탄소 감축 기업에 t당 최대 85달러의 보조금을 지급하는 등 제도적으로 CCS 사업을 지원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탄소 배출 감축만으로 직접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유일한 국가로 꼽힌다.
텍사스 연안에는 발전소를 비롯해 시멘트, 석유화학, 가스 정제 등 다양한 이산화탄소 배출원이 밀집돼 있고, 다수의 원유 가스 파이프라인이 조성돼 있어 탄소 포집이 쉽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이달 중 미국에 신규회사 '포스코인터내셔널 CCS USA LLC'를 설립하고, 이번 사업 외에도 향후 추가 CCS 사업을 본격 추진할 방침이다.
관련기사
- COP28 벌써부터 '신경전'...EU, 화석연료 단계적 퇴출 합의 추진
- 삼성중공업, 부유식 탄소 저장·주입설비 기본인증 획득
- 워런 버핏의 옥시덴탈, 캐나다 탄소포집 기업 11억불에 인수
- 美 정부, 탄소 포집 1차 지원 프로젝트 2개 선정...총 35억 달러 투자
- 미 EPA, 화석연료 발전소 탄소포집 시설 의무화
- GS칼텍스-포스코인터, 인도네시아에 바이오원료 정제시설 건설
- 최정우 포스코 회장 "탄소중립 달성, 기술·정책 양 날개로 도약해야"
- 포스코, "그룹 내 전 상장사 ESG A등급 이상 획득"
- 포스코인터내셔널 "2030년 친환경소재사업 매출, 올해보다 두배로"
- 최정우 포스코 회장 '탄소중립 위해 경쟁보다 협력할 시점'
- 포스코인터내셔널, 광양 LNG터미널 준공…93만kL 저장용량 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