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SG경제=홍수인 기자] 기술보증기금(기보)이 한국형 녹색분류체계인 ‘K-택소노미 인증제도’를 도입한다.
K-택소노미는 우리나라의 녹색 경제활동을 정의하는 기준으로, 더 많은 자금이 친환경 녹색 프로젝트와 기술로 유입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제정됐다.
기보는 실무자들이 키워드 선택방식으로 쉽게 판별할 수 있는 KTAS 시스템을 구축했고 연말까지 시범사업을 거쳐 2024년부터 K-택소노미 인증서를 보증서와 함께 제공한다.
KTAS 시스템은 기보의 탄소 가치평가와 접목해 온실가스 배출량 산출 등 전문가가 아니면 판별할 수 없는 경제활동까지 판단할 수 있다. 기보의 K-택소노미 인증제도는 KTAS 시스템에서 기업의 경제활동별로 녹색분류체계와 적합성을 판단하고 이를 통해 녹색 여신 인정 비율을 산출하는 체계까지 갖추고 있다.
기보 관계자는 "K-택소노미 인증제도는 ESG(환경·사회 책임·지배구조) 인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에 녹색경영을 유도하고 녹색 여신 비중을 높여야 하는 은행에 대출 심사 시 업무 부담을 줄여 녹색금융 확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유럽 수퍼마켓, 녹색경영 눈길...'가축세탁' 브라질산 소고기 '퇴출'
- 은행권 ESG 기업 대출 상품 경쟁 가열...객관적 평가 기준 과제
- 상장 대기업, 2022년부터 환경정보 의무 공시
- 무엇이 과연 녹색산업인가?...택소노미(Taxonomy) 논쟁 가열
- 신흥국ㆍ개도국 청정에너지 투자 10년 내 최대 2.8조달러 필요
- 글로벌 녹색채권 시장 부활...5월 발행액 역대 최대
- 국내 ESG 플랫폼 하나로 묶는다...한국거래소 정보 통합은 장기 과제
- ESG 퇴조? “열심히 대비 안 하면 큰일 난다”
- ESG 투자 고금리 악재에 '멈칫'...넷제로 투자는 장기전
- 기보, 中企 인수합병 활성화 지원…'M&A 파트너스' 15개로 확대
홍수인 기자
hongsi@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