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은 대형마트·명품은 백화점…카드·간편결제 주로 이용

[ESG경제=홍수인 기자] 국내 소비자들은 오프라인 매장에서 제품을 사기보다 온라인 쇼핑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네 슈퍼마켓이나 재래시장을 덜 찾는다는 의미로 그만큼 소규모 자영업자들의 매출이 부진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영업자들이 “경기가 너무 좋지 않아요”라고 외치는데, 이는 오프라인 쇼핑을 하는 소비자들이 대폭 줄어든 것도 중요한 요인이 되는 셈이다.
롯데멤버스는 리서치 플랫폼 '라임'을 통해 전국의 성인남녀 7,000명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확인됐다고 15일 밝혔다.
온라인 구매 비중은 51.5%로 오프라인(48.5%)보다 높았다. 쇼핑 카테고리별로 보면 반려동물용품(17.7%), 건강기능식품(17.4%), 디지털·가전제품(14.7%), 뷰티제품(13.3%), 패션잡화(12.9%), 여가·스포츠용품(12.4%), 패션의류(11.6%), 유아동용품(9.5%)은 오픈 마켓에서 가장 많이 구매했다.
식품(30.0%)과 생활용품(18.9%)은 대형마트 구매 비중이 높았고 명품은 백화점(30.5%), 가구·인테리어용품은 이케아나 다이소 같은 리빙·인테리어 전문점(10.3%)에서 각각 구매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패션의류나 잡화, 스포츠용품, 유아동용품, 디지털·가전제품 등은 특정 유통채널에 한정되지 않고 구매한 곳이 다양했다.
오프라인 매장의 주 결제 수단은 실물 카드(55.8%)와 간편결제(33.4%)가 대부분을 차지했고 현금은 3.5%에 불과했다. 온라인에서는 간편결제(42.1%) 이용 비중이 오프라인보다 높았다.
최근 유통업체들이 새롭게 시도하고 있는 '라이브 커머스'에 대해서는 48.6%가 실제로 본 적이 있다고 했고, 이 중 56.3%는 제품을 구매해봤다고 응답했다.
라이브 커머스로 구매한 품목은 식품(55.2%)이나 생활용품(33.3%), 건강기능식품(30.2%)처럼 비교적 가격대가 높지 않은 소모품이 많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