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용 소재 비율, '25년 25%, '30년 30% 이상 확대하기로
구리, 주석 등 금속 소재부터 재활용 소재로 전환

[ESG경제=김현경 기자] SK하이닉스는 재활용·재생가능 소재를 제품 생산에 적극 활용하는 중장기 계획을 글로벌 반도체 업계 최초로 수립했다고 6일 밝혔다.
SK하이닉스는 "넷제로(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자원 재활용을 중심으로 한 순환경제 시스템이 전 세계 국가와 기업에 중요한 과제가 됐다"며 "이런 흐름에 맞춰 재활용 소재 사용 비중을 단계적으로 확대하는 목표를 선제적으로 수립하고 이행해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SK하이닉스는 생산품에 재활용 소재가 사용되는 비율을 중량 기준으로 2025년까지 25%, 2030년까지는 30% 이상으로 높인다는 목표를 이번 로드맵에 담았다. 이를 위해 반도체 생산에 투입되는 필수 소재인 구리, 주석, 금 등 일부 금속 소재부터 재활용 소재로 전환할 것이라 밝혔다.
금속 소재는 메모리 반도체 완제품 중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고 다른 소재로 대체하기도 어려워 이를 재활용하면 자원순환 측면에서 효과가 가장 크다고 SK하이닉스는 설명했다. 반도체 완성품 보호에 쓰이는 플라스틱 포장재도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교체한다.
아울러 회사가 직접 구매하는 재활용 소재에 대해 인증 절차와 품질 평가를 강화하고, 협력사가 납품하는 부품 소재도 품질 평가서를 제공받아 검토한 뒤 적용 여부를 결정하는 등 로드맵 목표 달성을 위한 이행 체제도 정비했다. 이와 관련해 국제표준화기구(ISO) 등 공신력 있는 외부 기관의 재활용 소재 사용 비율 검증·인증에 협력사들이 동참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SK하이닉스 송준호 부사장(선행품질&분석 담당)은 "ESG 경영에 힘쓰는 기업으로서 글로벌 순환경제 구축에 적극 동참하고자 한다"며 "로드맵을 실천하면서 고객과 협력사 등 반도체 공급망 내 모든 이해관계자와 힘을 합쳐 실질적 성과를 낼 수 있게 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