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당금 4500원·5천억 자사주 취득 주주제안 주총 안건 상정
표 대결 향방 주목... 외인투자자·국민연금 선택이 관건

[ESG경제=박가영 기자] 삼성물산이 다음 달 15일로 예정된 제 60회 정기 주주총회에서 국내외 행동주의 펀드가 상정한 주주제안 안건을 채택했다.
해외 펀드인 씨티오브런던인베스트매니지먼트·화이트박스어드바이저스 등과 국내 안다자산운용은 삼성물산에 자사주 취득과 현금배당의 안을 공동 제안했다. 이들은 합산 1.46%의 삼성물산 지분을 가지고 있다.
현행법상 의결권 있는 주식으로 발행주식 총수의 1% 이상을 6개월 이상 보유시 주주제안이 가능하다. 삼성물산은 다음 달 15일 강동구 소재 글로벌엔지니어링센터에서 정기 주총을 개최할 예정이다.
공시에 따르면 이들은 구체적으로 보통주 1주당 4500원, 우선주 1주당 4550원을 배당(제1-2-2호 의안)하고, 5000억원 규모의 자사주 취득(제3호 의안)을 제안했다. 삼성물산의 이사회가 책정한 배당금은 일반주 1주 당 2550원, 우선주 1주당 2600원(제1-2-1호 의안)이다. 배당금 책정액이 약 2000원 가량 차이난다.
삼성물산 주가는 순자산가치(NAV)에 견줘 65%가량 낮은 가격에 거래돼왔으며, 대표적인 저평가주로 여겨져왔다. 따라서 국내외 행동주의 펀드들은 지난해 말부터 삼성물산에 자사주 매입과 주주 배당을 확대하라는 요구를 계속해왔다. 특히 삼성물산 주가가 저평가를 받고 있는 만큼 2023년 기말 배당으로 7300억 원을 지급해 적극적인 주주 환원을 실천해야 한다고도 주장한 바 있다.

삼성물산은 주주제안에 대해 “주주제안은 당사가 대내외 경영환경을 고려하여 심사숙고 끝에 수립한 3개년 주주환원 정책을 크게 초과하는 내용으로 경영상 부담이 되는 규모”라며 “주주제안상 총 주주환원규모는 1억 2364억 원으로 ‘23년 뿐만 아니라 ’24년 바이오로직스를 제외한 당사의 잉여현금흐름 100%를 초과하는 금액으로, 이 정도 규모 현금 유출 시 투자재원 확보가 어려워진다”고 반박했다.
또한 삼성물산은 순자산가치 할인율이 60% 이상인 상황에서 자기주식매입 수익률은 150%이기에 현금 활용의 정당성을 얻기 어렵다는 주장에 대해, 국내 지주사의 순자산가치 할인율은 여러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할인율 해소를 전제로 제시한 자기주식 매입 수익률은 장기 주주가치 제고 측면에서 설득력이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삼성물산 측은 주주들에게 주주총회에서 이러한 주주제안에 반대하는 의결권 위임을 요청했다. 삼성물산은 지난달 31일 공시를 통해 계획대로 ‘25년과 ’26년에 걸쳐 보통주 780만 7563주를 소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행동주의 펀드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고 기존의 주주환원 정책을 고수하겠다는 입장이다.
주주 설득 나선 삼성물산... 표 대결 전망은
삼성물산이 요구와 상관없이 기존의 정책을 고수하면서 주주제안 안건을 채택한 것은 행동주의 펀드들의 지분율이 1%대에 그치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지분율이 미미한 행동주의 펀드들이 표 대결에서 승리하는 사례는 대부분 높은 지분율을 가진 주주의 도움을 받거나 소액주주들의 표를 성공적으로 결집한 경우다.
현재 삼성물산의 주요 주주는 이재용 회장 등 특수관계인이 33.28%, KCC가 9.17%, 국민연금이 7.25%를 가지고 있다. 소액주주 지분율은 40% 안팎이다.
배당 의안은 이사회안과 펀드에서 제안한 안 중 하나만 선택해야 한다. 행동주의 펀드에게는 주주 설득이 중요하다. 삼성물산 측도 본격적으로 소액주주 설득 및 위임장 확보에 나섰다.
외인 투자자들의 선택과 지분 7.25%를 가지고 있는 국민연금의 선택도 주요 관건이다.
김규식 전 거버넌스 포럼 회장은 “삼성물산처럼 시가총액이 큰 기업의 경우 지분율이 낮은 경우가 대다수다”라며 “가장 큰 글로벌 행동주의 펀드 엘리엇 같은 경우도 60조 원 정도의 규모다. 그렇기 때문에 대기업의 경우 적은 지분으로 내놓은 주주제안이 다른 주주들을 얼마나 설득하느냐가 관건이며, 지난해 말 기준 19.5%의 지분을 가지고 있는 외인 투자자들을 설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또한 그는 “이번 주총은 총선 전에 개최되는데, 현 정부가 주주환원율을 올려 국민 자산 축적의 공간으로 주식시장을 활용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친 상황에서 국민연금이 주주환원책에 대해 대놓고 반대를 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 삼성전자 사외이사 후보에 신제윤 전 금융위원장
- 한국 간판 기업들, ISSB‧ESRS 기준 ESG 공시에 "신속 대응”
- 국내외 헤지펀드, 삼성물산 압박...배당 7300억 요구
- 이남우 회장, "한국은 기업거버넌스의 '갈라파고스'"
- 대기업 총수일가, 담보 잡힌 주식 비율 32.1% … 롯데 77%로 ‘최대’
- 올 정기주총 관전 포인트는...'행동주의 펀드'와 'ESG 리스크 관리'
-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에 "이사회 역할 핵심"
- [주간 ESG] 2월 셋째 주, 포스코이앤씨, SBTi 2030년 탄소감축 목표 승인 외
- '기업 밸류업' 성공 열쇠는..."이사회개혁과 PBR개혁"
- 삼성전자, 제55기 정기 주주총회 3월 20일 개최
- 주주행동주의 확산...'23년 주주권 행사 대상 기업 4% 증가
- '24년 정기 주총, 거버넌스 관련 정책 수립 여부에 주목해야
- 행동주의 '큰 손' 칼 아이칸, 제트블루 항공 이사회 2석 확보
-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발표 임박, 주주환원책 기대감 고조
- 정기 주총 시즌, 주목받는 소액주주 움직임
- 금호석유화학, 자사주 50% 3년간 분할소각한다
- 한국ESG평가원, 삼성물산 회사측 배당 계획 지지
- 삼성물산-행동주의 펀드 주총 표 대결, 회사측이 이겨
- 법원, 감사 선임 선결의안 상정 적법성 인정...3%룰 무력화 우려
- 삼성물산 건설부문, 협력사 환경성적표지 인증 취득 지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