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하이닉스, 지난해 사회적가치 5조원 창출
SK하이닉스가 지난해 4조9845억원의 사회적 가치(SV)를 창출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는 전년(7조5845억원) 대비 34% 감소한 수준으로, 반도체 다운턴(하강 국면)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해석된다.
SK하이닉스 측은 "SV 측정 항목 전반적으로 부진했으나, 고대역폭 메모리(HBM)와 DDR5 등 전력 효율을 극대화한 고성능 제품 개발로 생산 과정에서 환경 영향을 줄이고 협력사들과의 동반성장 활동으로 국내 반도체 생태계의 기술경쟁력을 강화한 결과 관련 항목에서는 의미 있는 실적을 거뒀다"고 설명했다.

사회적가치의 분야별로는 경제간접 기여성과 5조452억원, 환경성과 -8258억원, 사회성과 7651억원을 기록했다. 경제간접 기여성과는 납세액 감소로 2022년 대비 35% 줄었다. 사회성과도 전년 대비 9% 감소했다. 다만 사회적 기업을 통해 취약계층 지원에 힘쓰면서 제품·서비스(삶의 질) 항목의 SV는 전년 대비 19% 증가했다.
환경성과의 경우 전력 고효율 제품 개발, 온실가스 배출 총량 저감을 통해 부정적 영향이 전년 대비 21% 감소했다. 업황에 영향을 많이 받는 배당과 납세 영역을 제외한 SK하이닉스의 SV 창출액은 SV 측정을 시작한 2018년 이래로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이 기준에 따른 지난해 SK하이닉스의 SV 창출액은 3조9073억원으로, 최대 영업 실적을 달성했던 2018년의 2조7591억원 대비 42% 증가했다.
SK하이닉스는 2022년부터 협력사를 포함해 SV를 측정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19곳이 참여했고, 총 1조6074억원의 SV가 창출된 것으로 집계됐다.
LG화학, KCC와 손잡고 친환경 페인트 개발 나서
LG화학이 지난 23일 용인 KCC 중앙연구소에서 KCC와 친환경 소재 및 도료 관련 기술 연구·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협약으로 LG화학이 연구·개발한 이산화탄소 전환 또는 미생물 발효 기반 친환경 페인트 원료를 공급하면, KCC는 자동차 등에 쓰이는 친환경 페인트 제품을 개발하기로 했다. 두 회사는 친환경 페인트가 기존 페인트와 동등한 수준 이상의 물성을 유지하도록 연구하고 자동차 도료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을 검토할 계획이다.
부산 산업단지 에너지저장시스템 구축... 버려지는 태양광 활용
부산시가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에너지공단이 주관하는 '2024년 미래 지역에너지 생태계 활성화 지원사업' 공모에서 '부산 산업단지 ESS 활용 분산에너지 기반 조성 사업'이 선정됐다고 27일 밝혔다. 부산시는 에너지 기업 크로커스, 누리플렉스, 동영클린에너지협동조합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이번 공모에 참여했다. '부산 산업단지 ESS 활용 분산에너지 기반조성 사업'은 신재생에너지 잉여전력을 ESS에 저장·활용함으로써 산업시설 최대 수요전력을 감축하고 탄소중립에 활용하는 운영시스템을 구축하는 사업이다.
이 컨소시엄은 6월부터 12월까지 국비, 시비, 민간 자본 등 총사업비 18억3400만원을 투입해 기장군 신소재 산단 ESS 구축, 신재생에너지 탄소배출권 등록, '재생에너지 100(K-RE100)' 지원, 에너지슈퍼스테이션 조성 등을 추진한다. 에너지구축슈퍼스테이션은 전기차에 저장된 전력을 공장에 공급할 수 있는 'V2G충전시스템'이다. 사업이 완료되면 신재생에너지 잉여전력을 활용해 공장 전력비용이 감소하고 부산의 분산에너지 기반 조성에 기여하게 된다.
현대글로비스, 자동차운반선에 가스 포집시스템 도입… 美 규제 대응
현대글로비스가 미국 선박용 배기가스 처리업체 스택스 엔지니어링과 해양 배기가스 포집·제어를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계약은 미국 캘리포니아주 대기자원국(CARB)이 제정한 '선박 정박 중 질소산화물과 미세먼지 배출량 80% 감축 강제화' 규정에 대응하기 위해 마련됐다. CARB는 지난해부터 캘리포니아주에 입항하는 컨테이너선을 대상으로 해당 규정을 시행했고, 내년 1월부터 대상을 자동차 운반선까지 확대한다.
현대글로비스는 이번 계약에 따라 내년 1월부터 캘리포니아주 베니시아, 로스앤젤레스, 롱비치, 와이니미 항구에 입항하는 자동차 운반선에 스택스 엔지니어링의 배기가스 포집·처리 시스템을 도입한다. 스택스 엔지니어링 설비는 선박의 배기가스를 포집한 후 필터링해 디젤 입자상 물질 99%와 질소 산화물 95%를 제거할 수 있다. 현재까지 스택스 설비를 통해 캘리포니아주에 정박한 선박에서 총 23t의 오염 물질이 처리된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글로비스는 캘리포니아주의 또 다른 자동차 물류 거점인 샌디에이고 항만에서도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 도입을 추진 중이며, 2028년까지 액화천연가스(LNG) 이중연료 추진엔진을 탑재한 자동차 운반선 총 30척을 확보할 예정이다.
KB금융, 기업가치 제고 계획 첫타자... 4분기 발표 예정

KB금융이 기업가치 제고 계획 공시 첫날인 27일 KIDN과 전자공시시스템에 '기업가치 제고 계획 예고'를 가장 먼저 안내 공시했다. 공시에는 "당사는 이사회와 함께 'KB의 지속가능한 밸류업 방안'을 논의해 왔다"는 내용이 담겼다. KB금융은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2024년 4분기 중 공시할 예정이다. KB금융지주는 지난 24일 외부 시장 전문가와 함께 한국 은행주의 저평가 원인과 투자자 의견을 공유한 뒤 사외이사·계열사 대표이사, 지주 임원들과 함께 중장기 자본관리, 자산 성장계획, 주주환원 정책 등을 논의했다.
KODEX K-신재생에너지액티브, 기초지수 대비 수익률 +107%p 기록
삼성자산운용의 KODEX K-신재생에너지액티브ETF가 상장 후 3년 수익률이 102.0%를 기록하며 같은 기간 -4.9%의 기초지수 수익률을 106.9%p 초과하는 성과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이는 패시브ETF는 물론 액티브ETF가 도입된 2017년 이후 현재 거래되고 있는 201개 액티브ETF 중 최대 성과다. KODEX K-신재생에너지액티브의 3년 장기 수익률 성과 또한 전체 일반ETF(레버리지 제외) 중 오랫동안 1위 자리를 지켜온 KODEX S&P500에너지의 111% 등에 이어 전체 2위다. 이 상품은 2021년 5월25일 상장됐다.
2017년 최초로 상장된 이후 현재까지 201개 상품이 거래되고 있는 액티브 ETF 중에 3년은 물론 여타 기간에서도 기초지수 성과를 100%p 이상 뛰어 넘은 상품은 아직 없었다. 이 상품의 기초지수 대비 상대 수익률은 연초 이후 +60%p, 1년 +67%p, 2년 +100%p를 각각 기록하며 꾸준히 기초지수를 상회하는 수익률을 기록했다.
삼성자산운용측은 "여타 신재생에너지 패시브ETF가 그 동안 기초지수 수준의 수익률을 보여 왔다는 것을 감안하면 이러한 지속적인 초과 수익률 기록은 액티브 운용의 차별적인 경쟁력과 존재 가치를 명확히 입증했다"고 전했다.
KODEX K-신재생에너지액티브는 태양광, 풍력, 수소, 원자력은 물론 2차전지와 전력인프라 등 신재생에너지 관련 국내 기업들에 투자한다. 현재 주요 구성종목은 효성중공업(8.85%), 씨에스윈드(7.48%), HD현대일렉트릭(7.8%), LS(7.19%), LS ELECTRIC(6.64%), 일진전기(6.38%), 씨에스베어링(6.37%) 등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