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과 미 미시간주 공장 EV용 라인, ESS용으로 전환 검토
배터리 부진에 투자 속도 조절..."시장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

[ESG경제신문=김대우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 미국 애리조나주의 에너지저장장치(ESS)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전용 생산 공장 건설을 착공 두 달 만에 일시 중단했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 4월 착공한 ESS 전용 생산 공장 건설을 최근 중단했다. 함께 착공한 원통형 배터리 공장 건설은 계속 이어간다.
LG에너지솔루션은 당초 총 7조2000억원을 투입해 원통형 배터리 36기가와트시(GWh), ESS LFP 배터리 17GWh 규모로 공장을 건설 중이었다. ESS 전용 배터리 공장에서는 LG에너지솔루션이 독자 개발한 파우치형 LFP 배터리가 생산될 예정이었다.
해당 공장은 2026년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었으나 건설 중단에 따라 완공 시점에도 영향이 생길 전망이다. 이번 공장 건설 중단은 전기차 '캐즘'(Chasm·일시적 수요 정체)에 따라 전기차용 배터리 수요가 급감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LG에너지솔루션은 전기차용 배터리 공장 가동률이 떨어지자 공장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유럽과 미국 미시간주 공장 EV용 라인 일부를 ESS용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에 따라 ESS 전용 공장의 필요성이 시급하지 않다고 보고, 투자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애리조나주 ESS 공장 건설을 잠시 중단한 것으로 분석된다.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는 "투자 속도를 조절하고 기존 생산시설 운영 최적화에 집중해 시장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려는 목적"이라면서 "애리조나 공장이 향후 북미 ESS 사업의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건 변함없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LG에너지솔루션, ESG 경영 성과 담은 'ESG 리포트 2023' 발간
- 달아오른 차세대 전기차 배터리 전쟁, 최종 승자는 누구?
- LG엔솔·삼성SDI, '인터배터리 유럽 2024'서 다양한 ESS제품 선봬
- LG엔솔, 고객가치 활동 강화로 전기차시장 '캐즘' 위기 극복
- 현대캐피탈-LG엔솔, ‘배터리 관리’ 잘하면 돈 되는 금융상품 출시
- LG엔솔, 북미 전기차시장 성장에 3분기 영업이익 역대 최대
- LG엔솔, 日도요타에 공급계약…연간 20GWh로 단일수주 최대
- LG엔솔, 해외 그린본드 발행에 나선다…"배터리 투자재원 확보"
- LG엔솔 캐나다 합작법인 “약 15조원 보조금 받는다"
- LG엔솔, 르노서 전기차용 LFP 첫 대규모 수주...계약규모 수조원대
- LG엔솔 김동명 "자만심 버리고 도전·혁신의 DNA 되살려야"
- [ESG기업브리핑] LG엔솔, 부패방지경영시스템 'ISO37001' 인증 취득 외
- LG엔솔, 유럽 전기차용 배터리 생산 위해 中 소재사 3곳과 협상중
- LG엔솔 사내독립기업, 국내 첫 배전망 연계형 ESS 발전소 완공
- LG엔솔, 북미 최대 에너지전시회서 최신 ESS 기술력 선봬
- LG엔솔, 배터리 관리 사업 가속도...'비.어라운드' 브랜드 론칭
- LG엔솔, 창사이래 첫 비전 선포..."배터리제조 넘어 에너지순환 중심"
- LG엔솔, 美 리비안에 차세대 원통형 배터리 공급...8조원대 규모
- LG엔솔, GM 합작 美배터리공장 인수 추진...효율 극대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