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LG엔솔, 유럽 전기차용 배터리 생산 위해 中 소재사 3곳과 협상중

  • 기자명 김대우 기자
  • 입력 2024.07.24 18:28
  • 댓글 0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원준 부사장 로이터와 인터뷰…다양한 협력방안 검토
"3년내 LFP 배터리 제조비, 中 경쟁사 수준으로 낮출 것"
생산기지로는 모로코, 핀란드, 인도네시아 등 3곳 검토

LG에너지솔루션 대전 R&D 캠퍼스.  사진=LG에너지솔루션
LG에너지솔루션 대전 R&D 캠퍼스. 사진=LG에너지솔루션

프[ESG경제신문=김대우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 유럽 시장에 수출할 전기차용 배터리 생산을 위해 중국 내 배터리 소재 업체 3곳과 협상 중이라고 로이터통신이 2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서원준 LG에너지솔루션 자동차전지사업부장(부사장)은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우리와 함께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개발해 유럽으로 수출할 업체를 찾기 위해 중국 기업들과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 부사장은 그러나 어느 업체들과 협의 중인지는 밝히지 않았다.

그는 "합작회사 설립이나 장기 공급계약 체결 등 다양한 협력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면서 이런 파트너십을 통해 LG에너지솔루션이 앞으로 3년 안에 중국 경쟁사들과 비슷한 수준으로 LFP 배터리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 6월 유럽연합(EU)이 중국산 전기차에 최대 38%의 추가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하면서 전기차 업계의 경쟁은 더욱 심화되고 있으며 글로벌 자동차 업체들은 배터리 공급업체들이 제품 가격을 중국산 수준으로 낮춰주도록 압박을 가하는 상황이다.

프랑스 자동차업체 르노는 이달 초 전기차용 파우치 LFP 배터리 공급업체로 LG에너지솔루션과 중국의 CATL을 선정했다. 양극재는 전기차 배터리에서 가장 비싼 단일 요소로, 배터리 셀 전체 비용의 약 3분의 1을 차지한다. 배터리 시장 추적업체 SNE 리서치에 따르면 중국이 전 세계 LFP 양극재 공급을 장악하고 있다.

서 부사장은 LG에너지솔루션과 중국 협력기업의 배터리 생산기지로 모로코와 핀란드, 인도네시아 등 3곳을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오늘날 대부분의 전기차 배터리는 니켈 또는 LFP 기반의 양극재를 사용한다.

니켈 배터리는 주행거리를 길게 할 수 있는 반면 제조 비용이 많이 들고 안전성이 떨어지며, LFP 배터리는 비용이 싼 대신에 주행거리에서 단점이 있다. 테슬라 등이 니켈 기반 양극재를, 비야디(BYD)와 같은 중국 업체들은 LFP 양극재를 주로 사용한다.

한국 배터리 업체들은 그동안 니켈 기반 배터리 생산에 주력해 왔지만 이제 더 저렴한 모델로 제품 라인업을 넓히려는 자동차업체들의 압력으로 LFP 배터리 쪽으로 생산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ESG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