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A 원하는 낙찰자에 일정 기간 계약 고정가격계약 유예
[ESG경제신문=이신형기자] 정부는 RE100 가입 기업의 재생에너지 전력 확보를 돕기 위해 올해 풍력과 태양광 발전소 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에서 낙찰된 사업자가 RE100 기업과 전력구매계약(PPA)을 체결할 수 있도록 RPS 사업자와의 고정계약 체결을 일정 기간 유예해주기로 했다.
관련기사
- 전력 발전사업자와 소비자, 한전 거치지 않고 전력 직접 거래 가능
- 주요국 금리 인하, 재생에너지 산업에 긍정적 영향 전망
- 글로벌 고객사 이미 RE100 달성...위기의 한국 반도체·AI산업 경쟁력
- 50조원 초대형 해상풍력 입찰시장 열린다...원전 8기 맞먹는 규모
- 韓 RE100 기업 재생에너지 비중 고작 8%...세계 '꼴찌' 수준
- 재생에너지 경매제도 잘 작동하려면...정부 충분한 물량확보가 관건
- 혼소발전도 RE100 이행수단되나...RE100 기술기준 개편 검토
- 국내 수출기업 RE100 외면하면..."수출액 최대 40% 감소"
- 아마존, “일본 재생에너지 공급 너무 부족해"...아시아 국가 공통 현상
- 월마트, 재생에너지 전력 1GW 구매 계약..."35년 RE100 달성"
- 국내 RE100 기업 전력 소비 10%선 돌파...“재생에너지 안정적 조달 필요”
- 윤석열 정부의 CFE 야심...RE100 대체 가능할까
- 경기도, ‘26년까지 9GW급 태양광 발전 설비 구축...태양광 이격거리 규제 폐지 논의
- 삼성전자‧TSMC, 탄소감축 쉽지 않네...아시아 반도체업체들 RE100 '한숨'
- RE100 기업 직접 PPA 관심 고조...전기요금 올라 구매 매력 커져
- 정부, 소형 태양광 우대제도 폐지..."전력망 유연화로 대응해야"
- 산업부 “재생에너지 필요성 전적 공감”...탈탄소정책 美 대선과 무관
- 태양광 발전용량 2TW 돌파...최근 2년간 급증
- 국내 대기업, 앞다퉈 '신재생에너지' 진출...현대차, 한화 앞서나가
- "한국도 지자체별 재생에너지 의무할당 도입해야…中·獨은 시행중"
- 주요국 해상풍력 목표 달성 요원...비용 급증하고 사업 지연
- 한국형 녹색프리미엄, "국제기준 충족 못해"…그린워싱 위험 커
이신형 기자
shlee@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