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랩 발굴·육성 스타트업 15곳 참여…AI 혁신 스타트업 선봬
삼성 C랩 스타트업, CES 최고혁신상 1개·혁신상 11개 수상
2012년 C랩 출범이후 총 912개 사내벤처와 스타트업 육성

[ESG경제신문=김대우 기자] 삼성전자가 발굴·육성하는 C랩 스타트업 15곳이 내년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5'에 참가한다.
삼성전자는 라스베이거스 베네시안 엑스포 내 스타트업 전시관 유레카 파크에 'C랩 전시관'을 마련, 스타트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한다고 26일 밝혔다.
전시 업체는 'C랩 아웃사이드' 프로그램을 통해 육성한 외부 스타트업 12개와 임직원 사내 벤처 프로그램인 'C랩 인사이드' 2개, 사내 벤처에서 분사해 창업한 'C랩 스핀오프' 1개 등 총 15개다.
이들은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 디지털헬스, 로봇 등 다양한 분야 혁신 제품과 서비스를 소개하며 글로벌 시장 반응을 점검하고 전 세계의 투자자, 바이어, 유통 관계자 등을 만나 해외 시장 진출을 타진할 계획이다.
전시에서는 비전 인공지능(AI) 기술 기반 확장현실(XR) 원격 협업 설루션(딥파인), 인테리어·가구 디자인 AI 기반 3D 시뮬레이션 서비스(마인스페이스), 중고 스마트폰을 활용한 안구질환 진단 설루션(랩에스디), 로봇 제어에 활용 가능한 다중센서 융합 기술 기반 정밀 손동작 추적 장갑(퀘스터) 등을 선보인다.
이번에는 대구와 광주에서 활동 중인 4개 스타트업이 C랩 전시에 참여한다. 지역 스타트업 4개가 CES에 참가하는 것은 역대 최대 규모라고 삼성전자는 전했다.
특히 'C랩 아웃사이드 광주' 스타트업인 고스트패스는 사용자 기기에만 생체정보를 저장·관리하는 생체인증 보안 설루션으로 CES 2025 핀테크 부문 최고혁신상을 수상, 지역 스타트업의 우수성을 입증했다.
삼성전자는 임직원이 개발 중인 'C랩 인사이드' 과제로 갤럭시 스마트폰과 워치를 활용한 자율주행 골프 트롤리(그린팔로우)와 빠르고 효율적인 로봇 연구를 위한 모듈형 로봇 플랫폼(모듈로) 등 2건을 선보인다.

삼성전자는 CES 2016부터 매년 C랩 인사이드 과제를 선보이며 글로벌 시장 반응을 점검하고 사업성을 검증하고 있다. 이외에도 'C랩 스핀오프'를 통해 독립한 AI 기반 온라인 시험 관리·감독 서비스 기업인 '에딘트'도 혁신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삼성전자의 C랩 스타트업들은 미국소비자기술협회(CTA)가 발표한 'CES 2025 혁신상'에서 최고혁신상 1개와 혁신상 11개를 수상하며 글로벌 무대에서 기술력과 혁신성을 인정받았다. 혁신상 수상 제품은 CES 기간 베네시안 엑스포에 별도 전시된다.
전필규 삼성전자 창의개발센터장 부사장은 "CES는 국내 스타트업이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고 브랜드 인지도를 높일 중요한 기회가 될 것"이라며 "C랩은 스타트업이 해외에서 인정받는 글로벌 혁신 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다각도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삼성전자는 2012년 C랩을 출범한 이후 현재까지 총 912개(사내 406개·사외 506개)의 사내벤처와 스타트업을 육성했다.
관련기사
- 올해 DJSI 월드지수 편입 국내 기업은...13.6% 증가, 최근 5년간 최다
- 거버넌스포럼 "ACGA 공개서한, 존재감 없어지는 韓 시장 향한 경고문"
- 이찬희 "삼성, '이건희 신경영 선언' 같은 생각의 전환 필요"
- 삼성전자, 30대 상무 1명·40대 부사장 8명 발탁...승진규모는 줄어
- 삼성전자 반도체 수술...전영현 대표이사 내정, 정현호· 한종희 유임
- ‘삼성의 위기’ 호소한 이재용 회장, 대대적 인적쇄신 칼 빼드나
- [김광기 칼럼] 삼성전자 위기 탈출, 이재용 회장의 결단은
- '4만전자' 추락 삼성전자, 10조 규모 자사주 매입…"주주가치 제고"
- 삼성전자 창립 55주년…"과거성과 안주...승부근성·절실함 약해진 건 아닌지"
-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 등기임원 언제 복귀하나...새 보상체계는
- KB금융·신한지주·현대차·KT·우리금융...ESG평가 'S‘ 등급 최우수
- '위기의 삼성' 이재용 회장 어떤 카드 내놓을까
- 삼성전자 지속가능성 흔들리나...FT "인재 유출 위험” 지적
- 삼성전자, 레인보우로보틱스 자회사 편입…휴머노이드 로봇개발 속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