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옵션 행사로 지분율 35.0%로 최대주주…미래로봇추진단 신설
미래로봇추진단장에 창업멤버 오준호 교수…해외시장 진출 기대

[ESG경제신문=김대우 기자] 삼성전자가 국내 대표 로봇 전문기업인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최대주주가 되면서 자회사로 편입했다. 대표이사 직속의 미래로봇추진단을 신설, 신성장 동력으로 꼽아 온 휴머노이드 등 미래로봇 개발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2023년 868억원을 투자해 지분 14.7%를 갖고 있는 레인보우로보틱스에 대해 보유 중인 콜옵션을 행사했다고 31일 밝혔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는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지분을 35.0%로 늘려 기존 2대 주주에서 최대 주주가 된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삼성전자의 연결재무제표상 자회사로 편입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앞서 지난해 1월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지분 10.22%를 590억원에 매입한 데 이어 같은 해 3월 278억원을 들여 지분을 추가 매입하고 콜옵션 계약도 맺어 향후 레인보우로보틱스를 인수해 최대주주에 오를 가능성을 열어놨었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국내 최초로 2족 보행 로봇 '휴보'를 개발한 카이스트 휴보 랩 연구진이 2011년 설립한 로봇 전문기업으로, 2족 보행 로봇, 4족 보행 로봇, 협동로봇 등을 개발·공급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레인보우로보틱스를 자회사로 편입함에 따라 미래로봇 개발을 위한 기반을 더욱 탄탄히 구축했으며 인공지능(AI)과 소프트웨어 기술에 레인보우로보틱스의 로봇 기술을 접목해 지능형 첨단 휴머노이드 개발을 가속화할 예정이다.
이번에 신설한 미래로봇추진단은 휴머노이드를 포함한 미래로봇 기술 개발에 집중하는 조직으로, 향후 패러다임을 바꿀 미래로봇의 원천 기술 경쟁력을 확보해 핵심 성장 동력화한다는 계획이다.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창업멤버인 오준호 카이스트 명예교수는 레인보우로보틱스 퇴임 후 삼성전자 고문 겸 미래로봇추진단장을 맡는다. 오 교수는 오랜 기간 산학에서 축적한 로봇 기술과 사업 노하우를 바탕으로 삼성전자의 미래로봇 개발에 힘을 보탤 예정이다.
한종희 디바이스경험(DX)부문장(부회장)은 지난 9월 DX 커넥트 행사에서 '강한 성장'을 새 지향점으로 제시하며 이를 위한 전략으로 메드텍, 로봇, 전장, 친환경 공조 설루션 등 4가지 핵심 영역을 공개하고 차세대 신성장 사업을 집중 육성하겠다고 강조한 바 있다.
삼성전자는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최대 주주로서 글로벌 로봇 사업과 개발 리더십 강화를 위한 두 회사간 시너지협의체도 운영한다. 시너지협의체는 미래로봇 기술 개발은 물론 로봇 사업 전략 수립과 수요 발굴 등을 통해 두 회사의 성장을 돕는 가교 역할을 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레인보우로보틱스의 협동로봇, 양팔로봇, 자율이동로봇 등을 제조, 물류 등 업무 자동화에 활용할 계획이다. 이들 로봇은 현장에서 발생하는 상황별 데이터, 환경적 변수 등을 AI 알고리즘으로 학습하고 분석해 작업 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삼성전자의 글로벌 영업 인프라를 활용해 해외 시장에도 적극 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삼성전자가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최대 주주가 됨에 따라 미래로봇 개발에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며 "결국 두 회사의 '윈윈' 성장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삼성전자, CES 2025 'C랩 전시관' 마련...스타트업 글로벌 진출 지원
- 올해 DJSI 월드지수 편입 국내 기업은...13.6% 증가, 최근 5년간 최다
- 거버넌스포럼 "ACGA 공개서한, 존재감 없어지는 韓 시장 향한 경고문"
- 삼성전자 광주 산재 은폐 적발·GS칼텍스 중대산업사고 발생
- 이찬희 "삼성, '이건희 신경영 선언' 같은 생각의 전환 필요"
- 삼성전자, 30대 상무 1명·40대 부사장 8명 발탁...승진규모는 줄어
- 삼성전자 반도체 수술...전영현 대표이사 내정, 정현호· 한종희 유임
- ‘삼성의 위기’ 호소한 이재용 회장, 대대적 인적쇄신 칼 빼드나
- [김광기 칼럼] 삼성전자 위기 탈출, 이재용 회장의 결단은
- 삼성전자 CFO "현 상황 단시간 내 해결 가능"...외국인은 또 매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