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반ESG 정책으로 투자 위축 우려
401K 투자 감시 강화 전망
[ESG경제신문=이신형기자]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선 후 반ESG 정책이 쏟아져 나오면서 지속가능성 투자 위축 가능성에 관한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백악관은 화석연료 에너지 생산과 사용 억제 정책을 종식시키겠다며 ‘에너지 비상사태(Energy Emergency)를 선포했고 파리기후협정 탈퇴를 선언했다. 수천억달러의 에너지와 기후정책 자금 지출을 중단하는 한편 연방정부의 다양성과 형평성, 포용성(DEI) 정책도 철회했다.
관련기사
- '셰브론 원칙' 폐기됐지만...“퇴직연금 ESG 투자는 타당” 판결
- EPA, "200억 달러 기후대응 및 청정에너지 보조금 중단" 엄포
- 26개 글로벌 투자자, "기후대응 소홀 자산운용사 교체" 경고
- 트럼프 2.0 시대, ESG투자 성공 위해 챙길 것 5가지
- ISS, 美 기업 이사회 다양성에 대한 고려 무기한 중단 선언
- 중국, 런던서 30억 달러 녹색국채 발행...기후 리더십 주목
- 피치, 국가신용등급 평가에 기후 위험 반영 추진
- 노르웨이 국부펀드, ESG 평가 나쁜 49개 글로벌 기업 투자 철회
- [전환 시선] 기업 ESG 후퇴 어디까지...유니레버와 코카콜라 사례 보니
- 美 22개 주, 뉴욕주 기후변화 슈퍼펀드 법안에 소송 제기
- 국내 ESG 금융 5년간 213% 급성장...공적금융이 주도
- 화석연료 기업, 미국 수소 세액공제 유지 로비
- 미국 대법원, 공화당 기후 소송 저지 시도에 제동
키워드
Tags #지속가능성 투자 #ESG 투자 #트럼프 행정부 #에너지 비상사태 #401K #아메리칸 항공 #퇴직연금 #모닝스타 #모건스탠리 지속가능투자연구소 #재생에너지 #IRA #전기차 세액공제
이신형 기자
shlee@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