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손모빌ㆍ셰브론 등 100개 이상 기업 의회에 서한 보내

[ESG경제신문=이신형기자] 화석연료 기업과 제조업체 등이 바이든 행정부가 도입한 녹색수소 생산에 대한 세액공제 혜택을 유지하기 위한 공조 로비에 나섰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이 보도했다.
지난 21일 보도에 따르면 석유와 가스 기업, 재생에너지 사업자, 화학기업은 100명 이상이 서명한 서한을 통해 상하원과 트럼프 행정부에 세액공제 유지를 촉구했다.
이들은 “수소 시장은 국제적으로 가파른 성장 속도를 보이고 잇고 미국은 이 시장에서 리더십을 공고히 하고 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를 높치면 안 된다”며 “미국이 선도적 지위를 유지하려면 다른 나라가 수소에 수십억달러를 투자하는 만큼 지속적인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서한은 마이크 존슨 하원의장과 존 상원 다수당 대표, 마이크 크랩토 상원 재정위원장, 제이슨 스미스 하원 세입위원장에게 전달됐다.
서한에 서명한 기업은 엑손모빌과 셰브론, 미국석유협회(API), 항공기 제작사 에어버스와 다우 케미칼, 제너럴 모터스(GM) 등이다.
바이든 행정부는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서기 직전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라 그린수소 생산에 킬로그램 당 최대 3달러까지 세액공제 혜택을 주기로 결정했다. 수소는 철강이나 중공업의 탈탄소 전환에 필수적이고 미구겡서 미국에서 수소산업은 유치산업이라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판단 때문이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서면서 IRA의 지속 여부가 불투명해졌다. 공화당 우세 주가 주로 IRA의 혜택을 받아왔기 때문에 폐지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예상도 있으나, 트럼프 행정부가 IRA에 적대적인 것은 사실이다.
지속가능한 에너지를 위한 기업 협의회(Business Council for Sustainable Energy, BCSE)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에서 1640만톤의 수소가 생산됐다. 하지만 이 기관은 최근 블룸버그 NEF와 함께 작성한 보고서에서 세액공제를 둘러싼 불확실성으로 현재 수소 생산이 크게 위축됐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아메리칸 항공 퇴직연금 투자 법 위반 판결...ESG 투자가 불법?
- EU, 청정산업 경쟁력기금 도입 추진...청정산업딜 초안 마련
- 트럼프, 몬태나주 SAF 생산 확장 대출금 승인
- “세액공제 유지하라”...한화큐셀 등 청정에너지 기업들, 美의회 압박
- 빅테크 포함 3000개 미국 기업 파리협정 계속 지지
- 美법원, 백악관 연방보조금 지급 중단 추가 제동...한국 기업 영향은?
- FT "트럼프도 ESG 투자 막지 못할 것...이미 대세화"
- 트럼프 취임 후 기후산업 뒤흔들 15가지 트렌드
- 수소 세액공제 완화로 “유럽 이어 미국도 수소 인프라 투자 본격화”
- 美 트럼프 행정부에서도 태양광 발전 증가세 지속 전망
- EU, 택소노미 적합성 자율공시 확대
- 미국 대법원, 공화당 기후 소송 저지 시도에 제동
- 트럼프 반 지속가능성 정책 백태...일자별로 정리해 보니
- EU ‘24년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46.9%...2.6%p 상승
- 중국, 재생에너지 가격 제도 개편...태양광 모듈 수급에 영향
- 세계 에너지 소비 중 석유 비중 30% 밑으로...50년 만에 처음
- 미국 하원 예산위원장, IRA 세액공제 폐지론에서 '후퇴'
- 수소환원제철 생산원가 "그린수소 국산화시 38% 절감 가능"
- 엑손모빌, 스코프3 제외 탄소회계 주장..."배출책임 전가 회계트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