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 하나의 상실이 장기적으로 구강 건강에 악영향 미칠 수 있어"
나이가 들면서 우리의 신체는 여러 가지 변화를 겪게 된다. 그 중에서도 치아의 건강은 노인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치아 한두 개 없어도 된다고 생각해왔다면 잘못된 판단일 수 있다.
세계보건기구 기준에 따르면 노인들은 최소 20개의 자연치아를 유지해야 한다고 한다. 특히 질기고 씹는 맛을 좋아하는 한국인의 경우 최소 큰 어금니를 포함한 26개의 치아를 갖고 있어야 다양한 음식을 먹기에 적합하다.
만약 이가 부족하면 음식을 제대로 씹고 소화하지 못하기 때문에 영양불균형으로 이어질 수 있어 건강과 체력에 직격타를 맞게 된다. 따라서 빠진 치아를 노화의 당연한 증상이라 방치하기보다는 임플란트로 보완하는 것이 좋다.
임플란트는 자연 치아와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며, 씹는 힘을 회복시켜줄 뿐만 아니라 주변 치아에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도 안정적인 지지력을 제공한다. 단순히 미적인 측면을 넘어,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소기 때문에 나이가 들어 이가 빠졌다면 임플란트를 고려하는 것이 현명한 선택이 될 수 있다.
로이스치과 의원 경주점 추원규 대표원장은 "나이가 들수록 잇몸뼈가 서서히 주변 조직에 흡수되어 골량과 골밀도가 떨어질 수 있다. 이럴 때 잇몸뼈 이식술을 고려할 수 있지만 노인의 경우 회복과정이 오래 걸릴 수 있어 구강 상태에 따라 다양한 보철 치료를 권한다"고 조언했다.
결론적으로 나이가 들수록 치아의 중요성을 간과하지 말고, 빠진 치아는 임플란트, 브릿지, 틀니 등 다양한 방법으로 보완하여 건강한 식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이가 들수록 치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임플란트를 통해 건강한 구강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얘기다.
추 원장은 이어 "치아가 빠지면 주변 치아가 이동하거나 기울어질 수 있어 교합 문제를 일으켜 턱관절에 부담을 줄 수 있다"며 "치아 하나의 상실이 장기적으로 구강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도움말 로이스치과 의원 경주점 추연규 대표원장
관련기사
- [건강] 본인에게 맞는 임플란트 종류 선택을 위해서는?
- [건강] 잇몸뼈 상태 양호하지 않다면, 뼈이식 임플란트 필요
- [건강] 노년층, 전신질환 환자의 임플란트 시술 시 주의할 점은?
- [건강] 만 65세 이상 임플란트 건강보험 적용 대상과 조건은?
- [건강] 노년층 치과 임플란트, 시술 전 체크해야 할 사항
- [건강] 임플란트 꼭 해야 할까...가능하면 자연치아 보존을
- [건강] 암 완치율 높이려면 환자별 맞춤 면역치료 이뤄져야
- [건강] 사랑니 발치에도 연령이 중요할까?....발치 골든타임은
- [건강] 나이 들면 이 빠지는 게 당연? 노년기 치아 상실 대체방법은
- [건강] 치아 없는 환자를 위한 혁신적 대안, ‘시니올’ 임플란트
- [건강] 고령자도 임플란트 가능할까? 노인 치과치료, 안전성 높이려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