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텍사스, 미국 최대 배터리 ESS 설치...캘리포니아 앞질러

  • 기자명 김연지 기자
  • 입력 2025.04.14 19:58
  • 수정 2025.04.14 23:32
  • 댓글 0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300만 가구에 전력 공급할 수 있는 4GW 규모 배터리 설치
중국 제품에 최대 145% 관세 부과...배터리 설치 비용 증가
IRA 폐지 공약 등 불확실성 증가...배터리 붐 둔화 우려

ㅂ2024년 3월 28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메니피에서 완공이 임박한 캘리포니아 최대 규모의 배터리 저장 시설을 드론으로 찍은 사진. 로이터=연합뉴스
미국 캘리포니아주 메니피에서 완공이 임박한 캘리포니아 최대 규모의 배터리 저장 시설을 2024년 3월 드론으로 찍은 사진. 로이터=연합뉴스

[ESG경제신문=김연지 기자] 미국 최대 석유 및 가스 생산지인 텍사스 주가 지난해 미국에서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력을 보관하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장치(ESS)를 가장 많이 설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블룸버그뉴스에 따르면 지난해 텍사스 주는 약 300만 가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4GW 규모의 배터리 용량을 설치하면서 캘리포니아 주의 배터리 설치 속도를 앞질렀다. 

텍사스 주 배터리, 재생에너지 용량 따라잡을 것

블룸버그NEF의 애널리스트 이슈 키쿠마는 캘리포니아를 비롯한 미국 내 여러 주가 보조금과 설치 목표를 통해 배터리 저장장치 설치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지만, 텍사스의 배터리 저장장치 설치 붐은 자유 시장의 결과라고 평가했다. 

BNEF에 따르면 배터리 공장 건설 비용은 2017년 이후 거의 절반으로 떨어졌다. 배터리 생산 단가도 떨어져 배터리 에너지 저장장치 설치가 가속화할 전망이다. 현재 7.4GW 규모인 텍사스 주 배터리 저장장치 설치 용량이 64GW에 달하는 풍력 및 태양광 발전 설치 용량을 따라잡기 위해 급속도로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텍사스 주에 세 곳의 새로운 배터리 저장장치를 운영할 계획인 배터리 스타트업 에즈볼타(esVolta LP)의 랜돌프 만 CEO는 “지난 몇 년 동안 우리는 대규모로 새로운 산업을 구축해 왔다”면서 “우리는 환경적으로 유익한 방식으로 이를 수행하고 있으며, 이를 매우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다”고 말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현재 텍사스 주의 배터리 버장장치는 막대한 양의 풍력 및 태양광 발전에 따른 전력망 부담을 줄여주고 있다. 수요 측면에서는 주민들의 전력 수요와 데이터 센터의 증가하는 전력 수요를 충족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배터리 저장장치는 또한 최근 몇 년 동안 텍사스 주에서 빈번하게 발생했던 정전과 에너지난을 방지하는 데도 기여하고 있다. 텍사스의 전력망을 관리하는 텍사스 전력신뢰성위원회(Electric Reliability Council of Texas)의 최고 운영 책임자 우디 리커슨은 지난 여름 연이은 폭염 사태에서 배터리 저장장치에 따른 추가 저장 공간 덕분에 소비자들이 “매우 나쁜 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중국에 관세 145%, 배터리 신규 투자 저해

하지만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에 부과한 높은 관세가 이같은 배터리 저장장치 산업의 성장세를 위축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미국 수입 배터리의 3분의 2 이상이 중국에서 생산되는 상황에서 백악관은 최근 중국산 수입품에 125%의 상호관세와 20%의 추가 보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블룸버그의 연방 에너지 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텍사스 주는 올해 기존 텍사스 주 전체 저장 용량의 두 배 이상을 추가할 예정이었으나 관세의 영향으로 개발업자들이 배터리 설치를 중단하거나 새로운 에너지 저장 소스를 찾게 될 가능성이 높다. 

당초 올해 산업용 배터리 저장장치의 비용은 킬로와트시(kWh)당 204달러로 지난해 대비 13% 하락할 것으로 예상됐지만, 관세 발표 이후 예상치가 kWh당 322달러로 급증했다. BNEF의 애널리스트 이슈 키쿠마는 “이는 미국 내 배터리 저장 프로젝트에 대한 신규 투자를 저해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조 바이든 행정부 당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통해 태양광 산업 및 ESS 산업에 제공하던 30% 투자세액공제 혜택 폐지 가능성도 배터리 붐을 위축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랜돌프 만 CEO는 “우리는 개발하는 데 5년 이상 걸리는 자산을 구축하고 있기 때문에 자본 비용을 명확히 파악하고 명확성을 확보해야 한다”면서 “불확실성이 있다는 것은 이해하지만 매일, 매주, 매월 관세로 인한 변동성이 있다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이라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ESG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