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EA, 리튬도 공급 부족 우려...구리보다는 신규 사업 전망 양호
에너지 관련 광물 공급 특정 국가 집중 현상 여전
[ESG경제신문=이신형기자] 전기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구리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나, 현재 구리 생산 현황을 고려하면 향후 공급 부족이 우려된다는 경고가 나왔다.
관련기사
- IRA 수정안 7월 확정...미국 재생에너지 산업의 미래는?
- '핵심 광물', 태양광-풍력 확대에 ‘복병’으로 급부상
- LG에너지솔루션, 프랑스에 배터리 재활용 공장 건립…年 2만t 처리
- 인도 전기차 시장, 배터리 '충전' 대신 ‘교환’에 주목
- "청정에너지 산업 성장 동력 건재"...주가도 기지개?
- 텍사스, 미국 최대 배터리 ESS 설치...캘리포니아 앞질러
- 전기차와 내연기관차 가격 같아져...배터리 '프라이스 패러티' 도달
- ‘글로벌 광물 신탁’ 설치 제안…희토류 전쟁 끝날까?
- 금속광산 환경훼손 극심…글로벌 공급망 모니터링 절실
- 기후변화로 구리공급 차질...“10년내 반도체 생산 32% 타격 입을듯”
- ‘50년 넷제로 땐 석유·가스 수요 급감...대규모 '업스트림 사업' 불필요
- IEA, 전기화 시대 도래...’35년 전력 수요 40~50% 증가
이신형 기자
shlee@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