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하대 연구진, 은행 화석연료 투자와 기업가치 실증 분석
기후정책 약한 국가, 화석연료 투자에 단기 기업가치 상승
“선언적 이니셔티브 실효성 없어...SBTi·RE100은 효과적"
“강력한 이니셔티브·국가 정책 병행시 화석연료 투자 감소”
[ESG경제신문=주현준 기자] 기후정책을 강하게 실시하는 국가에서 은행이 화석연료 투자를 많이 할수록 기업가치가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후정책이 약한 국가에서는 화석연료 투자를 많이하는 은행일수록 단기적으로 기업가치가 상승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관련기사
- [해외브리핑] 프랑스 마크롱 대통령, 獨 이어 EU CSDDD 철폐 촉구
- [단독] KSSB, "2028년 ESG 법정공시 도입해야...헌법적 의무”
- 한전, 글로벌 채권 투자설명서에 ‘기후리스크 은폐’ 의혹
- 中공상은행, 다통화 녹색채권 발행…"탄소 年 330만톤 감축효과"
- 바젤위원회 은행 기후공시 기준 나오면 한국 영향은?
- 바젤위원회, 기후 위험 관련 은행 공시기준 제시하기로
- “금융기관 탄소시장 진입 가속화”...한국 배출권 금융자산 되려면?
- 캐나다 퀘백주 연기금, ‘30년까지 탈탄소 기업에 546조 투자 계획
- 글로벌 은행 지난해 화석연료 금융 "1625억달러 증가"
- SBTi, 금융기관 넷제로 인증기준 공개...'화석연료 전환정책' 수립해야
- NZBA, 회원사 이탈 속 활동 일시 중단...구조 개편 착수
주현준 기자
news2@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