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지자체 ESG 강화시 청년유입 효과”…지역 인구소멸 대응책으로 주목

  • 기자명 주현준 기자
  • 입력 2025.07.22 18:02
  • 수정 2025.07.24 14:22
  • 댓글 0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경현 교수팀 연구...한국ESG평가원 평가자료 활용
ESG 점수 1점 증가할 때 청년인구 82명 순유입 효과
“사회(S) 분야 강화, 비수도권 청년 유입 효과 '뚜렷'”
“지방소멸대응기금, ESG 정책재원으로 활용” 제안

지방소멸 그래픽. 사진=연합뉴스
지방소멸 그래픽. 사진=연합뉴스

[ESG경제신문=주현준 기자] 지방자치단체의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수준 향상이 청년인구 유입에 실질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비수도권 지역에서 그 효과가 더욱 뚜렷해 지역 소멸 위기 대응 방안으로 ESG가 주목받고 있다.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이 최근 발간한 ‘지방행정연구’ 제39권 제2호에 게재된 ‘지방자치단체의 ESG와 청년인구 순유입에 관한 연구’ 논문에 따르면, 지방자치단체의 ESG 점수 상승이 청년인구 순유입에 유의미한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명대학교 경영대학 김경현 교수와 산업연구원 서성민 부연구위원이 전국 226개 기초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이번 연구는 2023년 지방자치단체 ESG 자료와 청년인구 순유입 변수를 활용해 분석을 진행했다.

"ESG점수 1점 상승 시 청년 89명 순유입…비수도권에서 더 효과 뚜렷"

분석 결과, 지방자치단체의 ESG 점수가 1점 증가할 때 만 19세에서 39세 청년인구 순이동이 89명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만 19세에서 34세 청년인구의 경우 82명 순유입 효과를 보였다. 연구팀은 K-SDGs 체계를 따르고 있어 국제적 기준의 SDGs 체계를 충실히 반영하는 한국ESG평가원의 지방자치단체 ESG 평가자료를 분석에 사용했다.

ESG 영역별로는 사회(S)분야의 개선이 청년 인구 유입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됐다. 사회분야 점수가 1점 증가할 때 만 19~39세 인구 순이동은 54명, 만 19~34세 인구는 50명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ESG평가원에 따르면 사회(S) 분야는 ▲저출산 및 인구 감소 대응 ▲고용 확대와 경제 성장 ▲공공복지 ▲고령화 사회 대응 ▲불평등 해소 ▲교육 등의 전략목표 항목으로 구성된다.

주목할 점은 수도권과 비수도권을 구분한 하위표본 분석에서 비수도권 지역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는 점이다. 비수도권에서 지방자치단체의 ESG 점수가 1점 증가할 때 만 19~39세 인구 순이동은 36명, 만 19~34세 인구는 30명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수도권에서는 ESG 점수 계수가 양(+)으로 늘긴 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연구진은 이에 대해 “수도권이 일반적으로 시·군·구 단위보다 넓은 생활권을 형성하고 있어 분석 단위의 한계가 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지방자치단체의 ESG와 청년인구 순유입에 관한 연구’ 논문 표지. 2025년 지방행정연구 제39권 제2호.
‘지방자치단체의 ESG와 청년인구 순유입에 관한 연구’ 논문 표지. 2025년 지방행정연구 제39권 제2호.

"청년세대, ESG 가치 중시 특성 반영"

이 같은 결과는 청년층이 다른 세대에 비해 ESG 가치를 중시하는 특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연구진은 "청년층의 경우 소비·일자리 선택 측면에서 ESG를 중시하는 경향을 보이며, 이러한 특성은 청년층의 지역 선택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지난 5월 글로벌 회계·컨설팅 기업 딜로이트가 최근 발표한 ‘Gen Z & Millennial Survey’에 따르면, 전 세계 44개국 2만 3482명의 밀레니얼(1983~1994년생), Z세대(1995~2006년생) 중 70%가 기업의 환경 정책과 지속가능성 이슈를 취업 시 중요한 기준으로 삼는다고 답했다.

"ESG-지방소멸 대응 정책 연계 필요해"

연구진은 이번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지방소멸 대응 정책과 지역 ESG 환경 제고 정책의 통합 운영을 제안했다. 특히 현재 지자체들이 운용하고 있는 지방소멸대응기금을 지역 ESG 환경 제고를 위한 정책 재원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한국ESG평가원이 2023년 실시한 ‘지방자치단체 ESG 평가’에 따르면, 17개 광역지자체 중 경기도가 A등급으로 1위를 차지했으며, 226개 기초지자체 중에서는 경기도 화성시가 유일하게 A+등급을 받았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지방자치단체의 ESG 이해도와 ESG 내재화 노력은 여전히 미흡한 것으로 평가됐다. 손종원 한국ESG평가원 대표는 “지자체가 ESG 행정에 나서기 시작했지만 성과는 아직 미흡하다”며 “사회 부문이 평균 ‘C+’ 등급으로 가장 부진했는데, 이는 사회 부문의 다양한 행정 서비스가 각 팀과 부서별로 이뤄지다 보니 ESG 행정의 전반적인 측면에서 통일성과 효율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지방자치단체의 ESG 강화가 단순히 지속가능발전 목표 달성을 위한 수단이 아니라, 지방소멸 위기에 대응하는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정책 도구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사회(S) 분야를 중심으로 한 지자체 ESG 정책의 체계적인 추진이 청년인구 유입과 지역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ESG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