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년부터 4년째 2조원 대 예산...GDP 0.1% 수준 수년째 제자리 걸음
기금 지원사업, 다른 회계 지원사업과 차별성 없어..."주머니만 바꿔 지출"
기재부 "기금 규모 늘리고 재원 확보 노력 필요 동의...사업 구조조정중"
[ESG경제신문=김연지 기자] 국회 기후위기특별위원회(이하 기후특위) 소속 의원들이 기후대응기금의 적은 예산 규모와 대상사업 선정의 모호한 기준에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관련기사
- 국회 기후특위, 위성곤 위원장 선임..."재생에너지 목표 크게 올려야"
- "정부 통합 기후재정계획 만들고 기후거버넌스 바꿔야"
- 기후 싱크탱크 3곳, 새 정부에 기후금융 10대 정책 제안
- 온실가스 감축인지예산 '허울' 뿐...정부기관 61곳중 16곳만 편성
- "지난해 탄소중립국가기본계획 기후사업 예산 20% 이상 삭감돼"
- [전환시선] '기후에너지부'만으로 안된다....'기후투자공사' 설립해야
- 기후행동의원모임 '비상', "추경에 기후재난 대응 핵심예산 반영해야"
- "유상할당 100% 확대하면 年 9조 기후재원 추가 확보 가능"
- 12개 기후환경법안 국회 통과…탄녹위 가고 기후대응위 온다
- 정부 "내년 배출권 가격 2만원 전망"...기후대응기금 2840억 증액
키워드
Tags #기후대응기금 #기후기금 #탄소중립기본법 #기후특위 #기후국회 #배출궐거래제 #교통세 #환경세 #기재부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김정호 의원 #이소영 의원 #이형일 차관
김연지 기자
kimyj@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