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에 감독기구 설립
해외 녹색사업 승인부터 탄소 감축 실적 평가, 배출권 부여까지 총괄
탄소 감축 실적 관리하는 등록부 마련, 단일한 탄소가격 형성 기대
[ESG경제=이신형기자] 지난주 막을 내린 제26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국제 탄소 배출권 거래에 관한 파리협약 6조의 세부이행규칙(rulebook)이 마련됨에 따라 1~2년 후 유엔의 감독하에 단일한 규정으로 운영되는 국제탄소시장이 출범할 전망이다.
관련기사
- 런던증권거래소, 탄소저감 기업ㆍ펀드 상장 규정 제정...주요국 중 처음
- [COP27] 기후변화 ‘손실과 피해’ 보상 안건 채택...성과 도출은 회의적
- [COP27] IOSCO, 탄소배출권시장 발전 위해 '유상할당' 확대 권고
- [COP27 결산] 국제탄소배출권 시장 미결과제로
- 대한상의, 토종 '탄소크레딧 거래 시장' 연내 개설 추진
- NDC 산업부문 탄소감축 목표 완화...국외 감축은 늘려
- (인터뷰) 한국적 자발적 탄소시장, 제대로 작동할까?
- 대한상의 탄소감축인증센터, 17개 사업 인증...스코프3 감축 인증 논란
- [COP29 결산] “내년 유엔 감독 탄소시장 개설”...국제탄소시장 기술지침 합의
- EU, CBAM에 유엔 국제 탄소시장 통한 상쇄 고려 검토
- 파리협정 6.2조 감축사업 본궤도...57개국, 97개 양자협정 추진
- EU ‘40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에 국제탄소시장 활용 검토
키워드
Tags #ESG경제 #ESG경영 #ESG투자 #파리협약 6조 #단일 탄소 가격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국가청정생산지원센터 #기획재정부 #환경부 #유엔 #COP26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등록부 #탄소 배출권 #국제 탄소배출권 시장
이신형 기자
shlee@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