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기‧전자제품 자원순환 체계’ 구축키로
재활용 물량 2.8만톤에서 8만톤으로 대폭 늘려

[ESG경제=이신형 기자] 전기‧전자제품에서 발생하는 플라스틱 쓰레기를 재활용해 다시 전기‧전자제품에 쓸 수 있는 고품질 플라스틱 원료로 공급하는 재활용 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고 정부가 밝혔다.
연간 발생하는 폐전기‧전자제품 약 40만톤을 재활용하면 플라스틱이 약 12만톤 발생하는데, 이중 연간 2만8000톤만 전기‧전자업계에 재생원료로 공급되는 상황이다. 정부는 앞으로 이를 8만톤까지 확대하도록 힘쓸 계획이다. 냉장고 약 300만대를 만들 수 있는 물량이다.
이를 위해 환경부는 3일 가전업계 및 재활용사업자와 함께 경기도 용인 수도권자원순환센터에서 ‘전기‧전자제품 자원순환 체계’ 구축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한화진 환경부 장관을 비롯해 박승희 삼성전자 사장, 류재철 LG전자 사장, 정덕기 이순환거버넌스 이사장, 재활용사업자 등이 참석했다.
이 협약을 통해 전기‧전자제품 생산자는 폐전기전자제품으로 만든 재생원료 사용량을 확대하고 재활용업계는 전기‧전자제품 생산자가 공급한 폐전기‧전자제품을 최대한 재활용해 전기‧전자제품 생산자에게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협력하기로 했다.
환경부는 전기‧전자제품 자원순환 체계가 정착될 수 있도록 자원순환 유통체계 구축을 지원하고 필요한 정책과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특히 전기‧전자제품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FR) 대상 품목을 확대해 관련 업계에서 고품질 재생원료를 더 많이 사용하도록 하고 재생원료 사용이 활성화되도록 플라스틱 재활용 기반도 확대할 계획이다.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는 제품을 생산한 기업이나 제품 포장재를 사용한 기업에 제품이나 포장재 폐기물의 일정량을 의무적으로 재활용하도록 하고 이를 이행하지 않으면 재활용에 들어가는 비용 이상의 재활용 부과금을 기업에 부과하는 제도다.
한 장관은 “이번 ‘전기‧전자제품 자원순환체계’ 구축 협약은 플라스틱 문제를 해결할 뿐만 아니라 고품질 재생원료를 가전기업에 공급하는 순환경제 산업의 본보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MSCI 선정, 2023년 ESG 6대 트렌드
- '그린 잡'이 뜬다...제조업·건설업 분야 일자리 많아 고용 친화적
- 엑손모빌, 플라스틱 폐기물 50만톤 첨단 재활용 시설 구축
- 플라스틱 오염과 기후변화 상관관계 ‘뚜렷’…순환경제 시급
- 바다에 버려지는 플라스틱 쓰레기, 1분에 트럭 한 대 분량
- 폐플라스틱 재활용 사업에 앞다퉈 진출하는 기업들
- 영국, 플라스틱 포장재세 1년만에 4600억원 징수...세제개편은 왜?
- "플라스틱 오염 끝내자"...국제 조약 마련 위해 200개국 모였다
- "미래를 위해, 지금부터 우리가"…5일은 세계 환경의날
- EU, 의류산업 ‘생산자책임 재활용 제도(EPR)’ 적용안 공개
- 전 세계 전자제품 폐기물 재활용률, 4분의 1에도 못 미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