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삼성전자 스타일 '사회책임'...작년 경제가치 배분액 281조원

  • 기자명 김상민 기자
  • 입력 2023.07.07 11:38
  • 수정 2023.07.08 08:17
  • 댓글 0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해외 매출은 전체의 85%...세금은 전체의 74%가 국내로
협력사 구매 220조·인건비 38조...고용과 재정 뒷받침
올해 상반기 영업이익 1.2조원으로 급감...세수 ‘빨간불’

삼성전자 경기 평택 반도체공장 전경. 사진=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 경기 평택 반도체공장 전경. 사진=삼성전자 제공

[ESG경제=김상민 기자] 이탈리아어 ‘페카토 모르탈레(Peccato Mortale)’는 “용서 받지 못할 죄”라는 의미로 두 가지에 적용된다.

하나는 공직자가 국민의 피땀 어린 세금으로 마련된 국가 예산을 함부로 낭비하는 죄이며, 다른 하나는 기업이 이익을 남기지 못하는 죄이다. 기업이란 최선의 경영을 통해 임직원과 협력업체의 삶을 보장하고, 세금을 많이 내며, 사회에 도움을 줘야 한다는 뜻이다.

삼성전자는 이런 측면에서 지난해 ‘최고의 기업가치’를 실현해 사회적 책임을 다한 것으로 평가된다. 지속가능한 경영 실천, 즉 ESG(환경, 사회적 책임, 지배구조) 경영으로 우리 사회로부터 가장 큰 박수를 받을 만큼 모범을 보였다는 의미다.

삼성전자가 6일 발표한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지난해 경제가치 분배액은 281조 4,000억 원이었다. 2021년(247조4,000억원)에 비해 19.1% 증가한 것으로 역대 최대이자 국내 기업 가운데 최대 금액이었다.

기업을 둘러싼 이해관계자로는 협력업체(제품구매), 임직원(인건비), 소비자(제품가격), 주주(배당), 정부(세금), 채권자(이자), 지역사회(사회공헌과 소비) 등이 있는데 경제가치 분배액이란 이들에게 직간접적으로 들어간 돈을 말한다.

예컨대 기업이 돈을 벌면 협력업체와 가계, 지역사회 등에 흘러들어 함께 번영하는 ‘낙수효과(落水效果. trickle-down effect)와 비슷하다. (반대말로 분수효과(噴水效果, fountain effect)’가 있는데 소득주도성장이 대표적이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전 세계 협력업체로부터 219조8,000억원 규모의 물품·서비스를 구매했다. 2021년과 비교해 14.5%(27조8,000억원) 증가했다.

인건비로 37.6조원...소득세·부가가치세로 11조원 납부 추정

임직원에게 지급한 인건비는 지난해 37조6,000억원으로 2021년에 비해 8.7%(3조원) 늘었다. 삼성전자의 지난해 국내외 임직원은 27만372명이다. 국내 조세부담률은 약 22%인데, 삼성전자 임직원의 소득이 높으므로 약 30%로 추정하면 지난해 소득세와 부가가치세 등으로 대략 11조원을 부담했을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법인세 등 세금으로 13조원을 지급했다. 이 회사가 사상 최대 실적을 올린 2018년(17조8,000억원) 후 가장 큰 규모다. 삼성전자는 해외에서 매출의 약 85%를 올리고 있는데, 한국 정부에 낸 세금은 전체 세금의 74%로 9조6,200억원에 달했다. 그만큼 재정에도 도움을 준 셈이다.

삼성전자 지난해 배당액은 9조8,000억원이었다. 이 배당금은 소액주주 581만3977명(지난해 말 기준) 통장으로 흘러 들어갔다.

지난해 삼성전자의 경제가치분배액은 명목 국내총생산(GDP·2161조8000억원)의 13.0%에 달했다. GDP 대비 비중은 2018~2021년 11%대에 머물다가 지난해 13%대로 상승했다.

삼성잔자의 최근 5년간(2018~2022년) 경제가치분배액은 총 1,190조원으로 됐다. 이 가운데 국내 비중은 60~70%로 추산된다.

올해 2분기 매출 60조원으로 22.3% 감소...영업이익은 고작 6천억원

한편 삼성전자는 연결 기준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6,000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95.7%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7일 공시했다. 매출은 60조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22.3% 감소했다.

삼성전자는 지난 1분기에도 작년 동기 대비 95.5% 급감한 6,402억원의 영업이익을 내는 데 그쳤다. 2009년 1분기(5,900억원) 이후 14년 만에 최저 수준이다.

올해 상반기 영업이익이 급감함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이나 배당금액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특히 정부로서는 가뜩이나 세수 부족에 시달리는 상황에서 ‘법인세 급감’이라는 악재를 만난 셈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ESG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하단영역